[TV서울=이천용 기자] 1분기(1∼3월) 주요 건설사의 신용도가 줄줄이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나 건설업계의 자금 조달력 약화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총선 이후 그간 억눌렸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가 본격화하며 건설 및 금융권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4월 위기설'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라, 시장 안팎에선 건설사 신용도 강등 추세에 더욱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6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 및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신평이 신용등급, 또는 향후 신용등급 조정 방향을 뜻하는 등급전망을 현재보다 강등한 건설사(신용등급 BBB- 이상)는 GS건설·신세계건설·한신공영·대보건설 등 총 4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GS건설[006360]의 경우 한신평뿐 아니라 나이스신용평가 역시 지난 2월 신용등급을 기존의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강등했다.
한국기업평가[034950]는 지난해 연말 일찌감치 신용등급을 내린 상태여서, GS건설의 신용등급은 국내 3대 신평사로부터 모두 하향 조정된 상태다.
GS건설의 경우 업황 악화와 더불어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라는 개별 이슈가 동시에 악재로 작용한 케이스다.
GS건설은 주차장 붕괴 사고로 영업정지 8개월 처분을 받아 사업경쟁력이 약화되고 주택 브랜드 '자이'의 이미지가 훼손됐다. 여기에 지방사업장 미분양 발생과 건설 수주·투자 위축 등 업황 악화가 종합적으로 반영됐다.
신세계건설[034300]도 지난달 한신평과 한기평으로부터 신용등급이 기존의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대구 지역 중심의 분양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분양 현장 관련 손실, 공사원가 상승, PF 우발채무 리스크 증가 등이 신용등급 하락에 반영됐다.
신세계건설의 대규모 영업손실은 모기업인 이마트[139480]의 신용도에도 악영향을 줬다. 이마트는 이익창출력 저하라는 자체 문제와 함께 종속법인인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으로 손실 부담이 커지면서 최근 신용등급이 AA-(안정적)로 강등된 상태다.
그밖에 한신공영[004960]도 지난 2월 한신평과 한기평에 의해 신용 등급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아졌다. 현재 이 회사는 한신평과 한기평으로부터 각각 BBB-, BBB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다.
또 한신평은 대보건설에 대해서도 신용등급 BBB-를 유지하면서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신용 등급전망은 지금 당장 등급 자체를 조정하지는 않지만 향후 재무상태 등을 관찰해 등급을 조정하겠다는 것으로, '부정적' 등급전망은 신용등급을 강등할 여지가 있음을 뜻한다.
한신평은 "2023년 결산 감사보고서 공시가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상반기 회사채 정기평가 등으로 일부 A급 건설사를 중심으로 신용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A급 건설사 가운데 등급전망이 '부정적'인 곳은 롯데건설(A+)과 HDC현대산업개발(A) 등이다.
건설사들의 신용도 저하는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들어가는 비용 부담을 키워 자금 조달력을 약화시킨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달 24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4월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한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신용도 강등이 추가로 나타나면 시장의 우려는 자극될 수밖에 없다.
신용도가 우수한 건설사는 여전히 공모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A급 이하 건설사는 사모채 시장을 이용하고, BBB급 건설사는 기업어음을 발행하거나 신용보증기금 보증으로 사채를 조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건설사들은 계열사로부터 직·간접적 지원을 받기도 했다.
김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위축된 사업환경을 고려하면 차입금 의존도가 AA급 25%, A급 30%, BBB급 35%를 웃돌기 시작하면 신용도 하향 압력이 확대된다고 볼 수 있다"며 "A급과 BBB급의 경우 전반적으로 현 신용도 유지에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3분기 기준 신용등급별 건설사들의 평균 차입금 의존도는 AA급 8.3%, A급 29.7%, BBB급 33.0%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