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기명 경남본부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고리 원전 4호기가 운영허가 기간 40년이 도달함에 따라 6일 가동을 멈췄다.
원전 운영 사업자인 한수원은 4호기를 계속 운영하고자 현재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승인 심사를 받고 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에 따르면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원전 4호기는 이날 오후 2시를 기점으로 전력 생산을 중단했다.
한수원은 전날 오전 4시부터 시간당 3%가량씩 4호기의 출력을 줄이는 작업을 해왔으며 이날 오후 2시께 출력을 중단하고 전력 계통에서 분리해 전력 생산을 완전히 중지했다.
고리 4호기는 발전 용량 95만㎾의 가압 경수로형으로 1985년 11월 첫 발전을 시작했다.
운영 기간에 꾸준히 설비 개선 등을 통해 현재도 전력 생산 기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당초 계획된 운영허가 기한 40년이 다 된 만큼 일단 가동 중지가 결정됐다.
정부는 향후 전력 수요와 신규 원전 건설에 드는 비용 등 경제성을 고려해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이라도 법상 추가 운영 기한인 10년간 더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2023년 4월 설계 수명을 다하고 가동을 중단한 고리 2호기에 대해서는 원안위에 주기적 안전성 평가보고서(PSR)를 제출하고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주민 공람·공청(의견 수렴)을 거쳐 원안위에 계속 운전 허가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한수원은 고리 4호기와 지난해 9월 운영을 중단한 3호기에 대해서도 2023년 11월 원안위에 계속 운전을 위한 운영 변경 허가를 신청해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심사에 걸리는 기간을 고려하면 2호기의 경우 올해 하반기, 3·4호기는 내년 중 심사 승인 여부가 결정 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수원은 심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추가 운영 허가에 대비해 '계속 운전 준비를 위한 계획 예방 정비' 계획에 따라 원전 설비 등을 점검하면서 기존에 정기적으로 진행하던 원안위의 정기 심사를 받는 다는 계획이다.
한편 1978년 가동을 시작한 고리 1호기는 추가 운영까지 약 40년간 가동된 후 지난 2017년 영구 정지가 결정됐다.
고리 1∼4호기를 제외해도 오는 2030년까지 총 7기의 원전이 운영 허가 만료로 가동 중단을 앞두고 있다.
영광 한빛 1·2호기(2025년 12월, 2026년 9월), 울진 한울 1·2호기(2027년 12월, 2028년 12월), 경주 월성 2·3·4호기(2026년 11월, 2027년 12월, 2029년 2월)가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이재명 정부에서 이 원전들의 추가 운영을 허가할지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새 정부의 원전 정책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는 없지만 업계에서는 '실용주의'를 강조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발언 등으로 미루어 보아 안전 확보를 전제로 '계속 운전'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다양한 에너지원을 유연하고 균형 있게 사용하는 합리적 '에너지 믹스'를 강조했으며, 원전과 관련해 지난 5월 열린 대선 후보 TV 토론회에서 "원전이 위험한 에너지라는 생각은 여전한데 이미 지어진 원전은 계속 잘 쓰자(는 입장)"이라는 발언을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