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갈수록 ‘믿고 사는 새우젓’의 명성을 더해가는 ‘제7회 마포나루새우젓축제’가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월드컵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성황리에 마쳤다.
마포구 공식집계 결과, 올해 마포나루 새우젓축제에는 3일간 총 56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갔으며, 특히 도농상생의 직거래장터인 새우젓장터, 지역특산물장터에 등에서는 13억6천6백만 원의 판매액을 올리며 대한민국 대표 새우젓축제로의 입지를 굳혔다.
올해 새우젓장터의 총 판매액은 예년에 비해 다소 감소한 8억1천5백만원. 김치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만큼 새우젓 소비도 주춤하는 추세다. 그래도 서울시민을 물론 멀리 경기도 여주 등 수도권 주민들까지 동원하는 마포새우젓의 힘은 여전했다.
축제장소 한 켠에 자리를 깔고 자매들끼리 도란도란 수다를 떨고 있던 마포구 대흥동의 한 주민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새우젓축제를 찾았다고 했다. 옆에 놓인 쇼핑카트에는 김장을 위한 새우젓, 멸치액젓을 비롯해, 반찬용으로 구매한 오징어젓, 가리비젓, 창란젓 등 젓갈류가 빼곡했다. “동네 주변 재래시장도 다녀보고 했지만 이 축제에서 파는 새우젓이 가장 맛있어요. 우리나라 대표산지에서 온 것이라 그렇겠죠? 마포구청에서 인증한 새우젓이니 믿고 사는 거예요.”
이번 축제에서 육젓은 상품의 질에 따라 kg당 2만5천원~3만5천원, 김장용 새우젓으로 쓰이는 추젓은 5천원~1만원에서 거래됐다. 멸치젓은 kg당 5천원~8천원에 팔렸다.
소비자들이 걱정하는 먹거리 안전을 위해 이 축제를 주최하는 마포구는 올해 처음으로 판매장터운영위원회를 구성, 가격 및 품질관리에 대한 감독을 강화했다. 올해 운영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업체는 내년에 참여기회가 제한된다.
또 과일, 곡물, 청국장 등 각종 지역특산물을 파는 농수산물 직거래 장터에는 11개 마포구 자매결연지가 참여해 약 3억2천8백만원 어치를 팔았다. 고사리, 토란대 등 나물류는 축제가 끝나기 전에 ‘완판’된 곳도 있었다.
이와 함께 황포돛배 전시 등 옛 마포나루의 모습을 재현한 마포나루장터는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어린이들은 사또의 옛 집무실인 동헌에서 사또, 포졸과 함께 사진을 찍으며 특별한 추억을 남겼고, 새우 잡기, 새우젓 담그기 체험 등을 비롯해 짚풀공예, 나무공예 체험, 한의사 진맥체험, 쑥뜸체험 등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다 함께 어울리는 기회가 마련됐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사를 고려할 때 마포구의 이름을 걸고 내놓은 각종 먹거리들을 믿고 사러와 주신 분들이 많았다는 것에 적지 않은 자부심을 느낀다”며 “내년에는 더욱 더 안전하고 풍성한 축제로 찾아 뵙겠다”고 말했다.
한편 마포구는 축제 안전관리를 위해 행사장 내에 CCTV 8대를 설치, 운영하고, 마포구청 직원 및 협조기관 관계자, 자원봉사자 등 행사요원 500여 명을 배치하는 등 안전사고 대비에 철저를 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