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


[TV서울] 산업부 연구기관 부정사용 452억, 미환수 233억

  • 등록 2018.10.22 13:03:10

[TV서울=김용숙 기자] 최근 5년간 산업통상자원부의 산하 3개 연구기관에서 지원하는 연구개발(R&D) 지원금의 부정사용건수가 207, 271억 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환수대상으로 지정된 금액 중 233억 원의 부당사용액을 여전히 환수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훈 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연구기관 3곳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86월까지 연구개발(R&D) 자금의 부정사용을 포함한 환수 적발건수는 총 207건으로 이에 대한 환수발생 금액은 4521,3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지원자금의 부정사용 내용을 기관별로 살펴보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103건에 1477,700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58, 697,600만 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46, 542,000만 원 만큼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지원자금 전체 중 환수대상으로 판정된 금액은 약 452억 원 중에 절반이 넘는 약 233억 원이 아직도 환수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각 기관별로 살펴보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환수대상액 2166,800만 원 중 1212,000만 원이 환수되지 못해 미환수율이 56%에 달했다. 이어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1469,100만 원 중 696,200만 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환수대상 885,400만 원 중 437,000만 원을 환수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지원자금의 부정사용 유형을 분석할 결과, 허위자료나 중복증빙이 49건에 1247,500만 원으로 가장 금액이 많았다. 연구개발 목적외 사용한 내역은 금액이 1025,800만 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지만 횟수는 94회로 중복증빙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현재 연구비 부정행위 및 제재에 관한 사항은 '과학기술기본법'과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에 따라 부정사용으로 적발된 사업은 심도 깊은 조사를 통하여 국고로 얼마나 환수되어야 할지 정확한 금액을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시적으로 환수금을 수납하지 못할 경우 분할 납부 등의 여러 방법을 통하여 수납액은 조금씩 증가하게 되며, 이후 신규 연구개발 참여를 제한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러한 부정사용을 막기 위해 '산업기술혁신촉진법'과 '과학기술기본법'에 규정되어 있고, 올해에는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에 사업비 횡령편취하거나 목적외 용도로 유용한 경우 연구개발에 참여 제한 등의 제재조치가 강화됐다


그러나 매년 제재 강도가 강화되고 현행 규정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지원자금을 받아간 연구기관들이 법적조치에 처해있거나 기업회생 등을 사유로 부정사용된 금액이 국고로 쉽게 환수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이훈 의원은 매년 규정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R&D사업 부정사용 금액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면서 규정강화와 더불어 현실에 맞는 대안을 작년에도 요구했는데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훈 의원은 국민의 혈세로 지급한 사업비를 허위로 사용하는 도덕적 해이는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연구개발 자금의 부정사용 의심사례를 사전에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보다 철저한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

더보기
국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 강행…김문수 취소·한덕수 등록 [TV서울=이천용 기자] 국민의힘이 10일 사상 초유의 대선 후보 교체에 나섰다. 지난 3일 전당대회에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지 일주일만으로, 전날 밤 김 후보와 무소속이던 한덕수 예비후보의 단일화 협상이 최종 결렬되자 당 지도부가 사실상 강제로 후보를 교체하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새벽 비상대책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동시에 열어 대통령 선출 절차 심의 요구, 김 후보 선출 취소, 한 후보 입당 및 후보 등록 등 안건을 의결했다. 국민의힘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 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이날 오전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 동안 후보 신청 등록을 받았다. 국민의힘은 이날 전 당원을 대상으로 후보 재선출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하고, 11일 전국위원회에서 최종 후보를 지명한다. 앞서 당 지도부와 김 후보는 한 후보와의 단일화 시기를 놓고 여러 차례 정면충돌했다. 당 지도부는 중앙선관위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 이전에 단일화가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