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대통령기록관, 미주지역 ‘독립공채’ 1호 원본 첫 공개

  • 등록 2021.08.12 13:42:09

 

[TV서울=신예은 기자]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1919년 미국에서 발행된 독립공채표 1호 원본 등 관련 기록물이 처음 공개됐다.

 

대통령기록관은 12일 광복절을 맞아 그동안 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독립공채 증서 1호를 포함한 원본 60매와 이를 구입한 15명의 명단을 홈페이지(www.pa.go.kr)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독립공채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1919년 중국 상하이와 미국 하와이에서 각각 원(圓)화와 달러화로 표시해 발행한 채권이다.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공채표’(Republic of Korea Certificate of Indebtedness)이며 ‘대한민국집정관총재(大韓民國執政官總裁) 이승만’과 ‘특파주차구미위원장(特派駐箚歐美委員長) 김규식’ 명의로 발행됐다.

 

 

이번에 공개된 독립공채표는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이승만 대통령 지시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 호눌룰루 영사관에서 수집한 미주지역 독립공채표로 1919년 9월 1일 발행됐다.

 

당시 수집 과정에서 독립공채표 원본 60매와 구매금액, 구입자 15명의 명단 등이 확인됐다. 이 가운데에는 ‘C.S. HONG’ 소유로 된 액면가 50달러의 제1호 증서도 포함됐다.

 

독립공채표 소유자 중에는 차정석, 오충국 등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한 인물이 포함돼 있다.

 

차정석은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활동했던 차리석의 동생으로 로스앤젤레스지방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1908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고, 오충국 역시 1907년부터 1945년까지 수십 차례에 걸쳐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대통령기록관은 “두 사람의 독립운동 공적은 ‘공훈전자사료관(e-gonghun.mpva.go.kr) 독립유공자공훈록’에 등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철 대통령기록관 기록서비스과장은 “독립공채 관련 기록물은 미주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지원한 한인들의 사례를 보여주는 자료”라며 “독립공채는 일제강점기에 소지한 것만으로 처벌받아 숨기거나 태워버린 경우가 많아 이번 공개는 더욱 의미 있다”고 말했다.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