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美시카고 하프마라톤 실제거리 800m 짧아

'신기록' 좋아했던 참가자들 당혹…일부 참가비 반환 요구

  • 등록 2022.10.01 08:10:08

 

[TV서울=박양지 기자] 지난 주말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하프 마라톤 대회 주최 측이 행사 직전 코스 거리를 짧게 변경하고도 참가자들에게 사실을 공지하지 않아 신뢰성 논란에 휩싸였다.

30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유명 운동화 제작사 '호카 오네오네'(HOKA ONE ONE)가 지난 25일 시카고에서 개최한 '제25회 호카 시카고 하프 마라톤'의 코스가 공식 거리 21.0975km에 800m 가량 미치지 않는 20.2777km였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 대회는 시카고 남부 미시간호변의 유서깊은 시민공원 '잭슨파크'를 출발, 도심 스카이라인을 배경으로 놓인 호변로를 따라 달린 후 유명 조형물 '공화국의 여신상' 앞에서 결승점을 통과하는 코스로 매년 수천명이 참가한다.

주최 측 대변인은 "시카고 당국의 막판 요구 때문에 코스 일부를 변경해야 했고 이로 인해 의도치 않게 거리가 짧아졌다"며 "참가자들에게 사전 공지하지 못한 점을 사과한다"고 밝혔다. 그는 "행사를 연기하거나 취소하지 않기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고 해명했다.

 

시카고 교통국은 "참가자 안전 문제 때문에 코스 변경을 요구했다"며 코스 북단 31번가의 교통량이 인근 초대형 스태디엄 '솔저필드'에서 열린 프로풋볼 경기 관람객의 영향으로 폭증할 것에 대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개인 신기록을 내고 기뻐하던 참가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회 참가자 제시 스틸은 "지난 4월부터 완주시간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훈련했다. 그리고 비싼 참가비를 내고 대회에 출전했다"며 실망감을 표현했다. 그는 "하프 마라톤을 완주한 자부심을 누리고 싶었는데 헛수고가 되어버렸다"고 말했다.

시카고 지역 육상연맹 사무총장 팀 브래들리는 "이번 대회 성적은 더 큰 대회 참가자격 기준이 되기도 하고, 기록으로 남기도 한다"며 "부정확한 거리는 여러가지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주최 측이 최소한 코스 변경 사실을 참가자들에게 미리 알렸어야 한다"며 참가비 150달러(약 22만 원)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다음달 9일 개최될 예정인 '시카고 국제 마라톤' 주최 측은 "호카 하프 마라톤은 시카고 국제 마라톤 대회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알렸다.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