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IP 확보 경쟁...글로벌 공룡 음반사, K팝 스타 잇달아 영입

  • 등록 2023.08.26 08:52:36

 

[TV서울=신민수 기자] K팝 산업의 규모가 나날이 커지면서 세계적인 음반 유통사도 K팝 가수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세계 3대 음반사로 불리는 워너뮤직과 소니뮤직의 한국 자회사들이 잇달아 K팝 가수를 영입하며 K팝의 IP(지적 재산)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음반 레이블인 워너뮤직 그룹의 국내 자회사 워너뮤직코리아는 지난해 JYP 출신의 보이 그룹 갓세븐의 완전체 활동을 전담하며 K팝 그룹 제작에 뛰어들었다.

올해는 '역주행 신화'로 잘 알려진 걸그룹 브레이브 걸스 멤버들과 전속 계약을 맺고 브브걸이라는 새 이름으로 걸그룹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일본에 본사를 둔 소니 뮤직의 국내 법인인 소니뮤직 코리아도 지난해 말 그룹 몬스타엑스의 아이엠과 전속계약을 맺었다.

소니뮤직의 일본 본사는 기획사 JYP엔터테인먼트와 손잡고 합작 보이그룹 발굴에 나서는 등 음반 유통을 넘어 신인 발굴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음반사의 'K팝 스타 모시기' 열기는 가요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이른바 '피프티 피프티 사태'에서 뜻하지 않게 드러나기도 했다.

올해 초 '빌보드 역주행'으로 관심을 모은 신예 걸그룹 피프티 피프티와 소속사에게 워너뮤직코리아가 200억 규모의 영입 제안을 했다는 사실이 전속계약 분쟁 과정에서 뒤늦게 알려진 것이다.

해외 팝 음악 제작이나 유통을 주로 하던 글로벌 음반사들이 K팝 가수 영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배경에는 경쟁력 있는 K팝 IP가 충분한 수익을 보장해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해외 진출을 필두로 급성장한 K팝 시장은 그 이후로도 안정적인 팬덤 세력과 제작 시스템을 기반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K팝 실물 앨범 수출 금액은 1억3천293만4천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7.1% 증가했다.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지난해 상반기 15.8%에서 올해 19.2%로 증가하고,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 비아시아 국가의 수출 비중도 일제히 느는 등 K팝 소비 국가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써클차트에 따르면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지난 7월 한 달 동안 K팝 상위 400개 앨범은 1천400만 장 넘게 팔리며 사상 최다 월간 판매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K팝의 전성기와 맞물려 국내에서 팝의 인기가 점차 시들해진 것도 해외 유통사들이 K팝 IP 확보에 나서게 된 이유로 꼽힌다.

써클차트가 집계한 지난해 가요 대비 해외 음원 소비 비중은 24.1%로 2020년 이후 2년째 하락세를 보였다.

정민재 대중음악평론가는 "국내 팝 시장이 위축되고 K팝의 인기는 날로 커지다 보니 글로벌 음반사들도 한국에서 독자적인 콘텐츠 IP 기반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운 K팝 제작에 거대 음반사까지 뛰어들면서 인기 K팝 IP를 둘러싼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 국내 음악유통사 관계자는 "고유 IP를 확보해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판단이 업계에 일반화되면서 대부분 관계사가 고유한 IP 콘텐츠 발굴에 나서는 분위기"라며 "IP 확보·제작에는 많은 초기 자본이 필요한 만큼 결국 '쩐의 전쟁'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정치

더보기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늑장조사' 금융당국 수사할까 [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 경위도 들여다볼지 주목된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실 관계자는 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주 중 특검에 (삼부토건 관련)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대해 국회에서 나온 의혹과 자료를 취합한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조사에 신속히 나서지 않은 경위가 수사로 밝혀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대표이사 등은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운 후 보유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득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국제 포럼에서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MOU)을 맺어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된 삼부토건은 그해 5월 1천원대였던 주가가 2개월 뒤 장중 5천500원까지 급등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전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정황이 포착돼 김 여사 연루 의혹도 일었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이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