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밴드 톡식 "피 끓었던 2002 월드컵처럼…포효하는 에너지 표현"

  • 등록 2025.03.03 10:18:01

 

[TV서울=신민수 기자] "그동안 톡식 활동을 해 오면서 무언가 새로운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작 '소년의 눈'에서 어렸을 적 초심의 에너지를 되찾고 싶다는 메시지를 담았다면, 이번에는 새롭게 포효하는 에너지를 표현했습니다." (김슬옹)

밴드 톡식은 2011년 KBS 밴드 오디션 '톱(TOP) 밴드' 시즌 1에서 우승을 거머쥔 이래 '록의 불모지' 같았던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서 다소 어둡고 강렬한 음악적 색채를 앞세워 존재감을 드러내 왔다.

'퍼스트 브릿지'(First Bridge), '카운트 다운'(Count Down), '타임'(Time) 등 여러 장의 음반을 내며 음악 축제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던 톡식은 멤버들의 군 복무와 개인 활동으로 약 10년 동안 긴 휴식기를 가졌다.

톡식은 2023년 말 드디어 '동면'을 깨고 팀 활동 복귀를 알린 이후 꾸준히 싱글을 냈고, 지난달 24일 강렬한 록 사운드의 '노 웨이 아웃'(NO WAY OUT)을 발표하며 팬들 곁으로 돌아왔다.

 

최근 서울 서초구에서 연합뉴스와 만난 톡식은 "우리가 데뷔한 지 십몇년이 지났지만, 다시 뭉친지는 일 년 반 정도 됐다"며 "그래서 1년 차 밴드라는 마음으로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멤버들은 "예전에는 우리를 불러주는 무대가 많은 것을 당연하게 느꼈는데, 요즘은 공연 하나하나에 감사함을 느낀다"며 "우리가 꿈꿔온 것들을 이루고 있다는 벅찬 감정이 든다"고 강조했다.

'노 웨이 아웃'은 혼란과 절망 속에서 탈출구를 찾으려는 절박한 외침이 담긴 곡으로, 록의 강렬한 사운드가 돋보인다. 독특한 음색으로 잘 알려진 더 픽스의 린지(Leenzy)가 피처링으로 힘을 보탰다.

톡식은 재결합 후 뿜어내는 열정과 신곡에 담긴 에너지를 많은 이들의 기억 속 추억의 이벤트로 자리 잡은 2002년 한일 월드컵에 비유했다.

맴버 김슬옹은 "사회적으로 뒤숭숭한 이 시기에 감성적이기보다는 '원초적' 사운드를 원하는 이들도 있지 않겠느냐"며 "마치 피 끓었던 2002년 월드컵이 떠오르는 듯한 느낌"이라고 짚었다.

 

멤버들은 지난해 부산국제록페스티벌 무대에 올라 관객의 열광적인 반응을 끌어냈고, 연말 음악 축제 '카운트다운 판타지'에서는 이번 신곡을 선공개해 역시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며 뿌듯해했다.

김정우는 "내가 20년 전에 부산국제록페스티벌 무대를 보며 록커의 꿈을 키웠다"며 "'저 무대에 서는 사람은 어떤 느낌일까' 하고 궁금해하던 학생이 바로 그 무대에 오른 것이다. 정말 꿈을 이룬 것 같았다"고 말했다.

'노 웨이 아웃'에 피처링으로 참여한 린지는 김슬옹과 JTBC 밴드 오디션 '슈퍼밴드 2'에 함께 출연한 인연이 있다. 이들은 방송이 끝난 뒤에도 음악적으로 교류하며 인연을 이어왔다고 했다.

린지는 "우리는 꿈을 좇아 위를 바라보기 마련인데, 이번 노래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이미 우리 안에 있다'는 메시지가 담겼다"며 "밖으로 깨고 나가기보다는 내면에 집중해 우리 안에 있는 꿈을 되돌아보자는 취지"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노 웨이 아웃'은 영어 가사로 돼 있어 메시지가 쉽게 전달되기보다는 이국적인 팝처럼 들리기도 한다.

김정우는 이에 대해 "우리는 이번 곡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기보다는 우리가 원했던 바이브(분위기)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추구한 분위기는 가요계 '밴드 붐'을 이끈 희망적이고 감성적인 느낌이라기보다 록의 근원에 가까운 에너지와 열정이다. 마치 자신들이 언급했던 2002년 월드컵 당시의 열띤 거리 응원처럼.

김정우는 "예전에는 사람들이 더 많이 들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인기를 겨냥해 노래를 만들었다"며 "그때그때 유행하는 트렌드를 따라가다 보니 '우리의 오리지널이란 무엇일까'하는 의문이 들더라. 남들과 달리 이런 음악을 하는 이들도 한 팀 정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진지하게 말했다.

톡식은 TV 방송, 음악 축제, 공연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서울 신촌 일대에서 이번 싱글을 소재로 한 '노 웨이 아웃' 미디어아트 팝업도 연다.

"린킨 파크가 새 여성 보컬 에밀리 암스트롱을 영입하고도 여전한 에너지를 뽐낸 것처럼 다시 뭉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요. 에너지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하하." (김슬옹)


"로켓 발사횟수 2배로" 스페이스X 신청에 캘리포니아 또 퇴짜

[TV서울=이현숙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캘리포니아 남부의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의 연간 로켓 발사 횟수를 2배로 늘려 달라고 신청했지만 규제 당국으로부터 거부당했다. 주(州) 해안 환경 등을 관할하는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스페이스X의 연간 로켓 발사 횟수를 50회에서 100회로 늘려달라는 미 우주군의 신청을 위원 10인 만장일치로 부결시켰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해안위원회 위원들은 로켓 발사 횟수를 늘리는 경우 인근 생태계나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군이 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았다고 부결 사유를 밝혔다. 실제로 이번 위원회 표결에는 우주군이나 스페이스X 등의 관계자가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으며, 위원회 사무국의 관련 질의에도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위원회가 스페이스X의 로켓 발사횟수 증가 신청을 부결시킨 것은 이번이 2번째다. 작년 10월에도 위원회는 발사횟수를 기존 연간 36회에서 50회로 늘려달라는 우주군의 신청을 찬성 4표, 반대 6표로 부결시킨 바 있다. 당시엔 이 결정에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크게 크게 일었다. 도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