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행정


오세훈 서울시장, 노란봉투법 연일 비판

"기득권만 보호하는 청년희생법"
"일자리 씨 마를 수 있어…이대로면 '쉬는 청년' 100만명 될 수도"

  • 등록 2025.08.23 10:41:53

 

[TV서울=나재희 기자]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23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청년희생법을 즉각 철회하라"며 정부와 여당을 향한 공세를 이어갔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청년 희생법, 민노총 보답법'이란 제목의 글을 올려 "20대 청년 중 일도 구직도 하지 않는 '쉬는 청년'이 42만명으로 역대 최고"라며 "청년들은 우리 사회에 묻고 있다. 도대체 우리의 기회는 어디에 있느냐고"라고 썼다.

그러면서 "이런 청년들의 절규는 외면한 채 정부 여당은 노란봉투법 통과를 예고했다"며 "철저히 민주노총 기득권에만 영합하는 정치"라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우리나라 시스템은 이미 경직돼 있다"며 "일단 고용하면 해고가 어려우니 기업들은 비정규직과 하청·하도급으로 위험을 회피한다"고 짚었다.

 

이어 "변화하는 경제 상황, 기술 발전 수준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정규직은 일부만 채용하고 나머지 분량을 비정규직과 하청으로 대체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합리적인 회피책이 되는 것"이라며 "결국 이미 기득권에 진입한 사람들만 보호받고, 새로 취업하려는 청년은 바늘구멍과 같은 취업 전쟁을 통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노란봉투법이 통과된다면 이제는 하청 문제를 넘어 기업들이 아예 대한민국을 떠나고, 외국 기업은 들어오지도 않는 나라가 될 것"이라며 "원천적으로 일자리의 씨가 마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대로라면 '쉬는 청년'이 42만명이 아니라 100만명이 될 수도 있다"며 "청년의 미래를 도둑질하는 '경제악법'을 즉각 철회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지난 21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제임스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교수와의 대담에서도 노란봉투법을 두고 "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으며 젊은이들의 취업 기회를 바늘구멍으로 만드는 부작용을 수반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고용노동부가 "불법파업을 용인하거나 책임을 면제해주는 법이 아니다"라고 반박하자 오 시장 측은 "기득권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며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고 맞받았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日 도쿄로 출발…3박 6일 순방 일정 돌입 [TV서울=나재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오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연이은 정상회담을 위해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이번 순방에는 부인 김혜경 여사도 동행했다. 3박 6일의 빠듯한 일정으로 떠나는 이번 순방으로 한미일 동맹을 중심축에 두고 '국익중심 실용외교'를 펼치겠다는 이 대통령의 외교 구상이 본격적으로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 도쿄에 도착해 재일동포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시작으로 일본 방문 공식 일정을 소화한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시바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의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친교 만찬도 연이어 예정돼 있다. 24일 오전에는 일한의원연맹 소속 일본 측 정계 인사들을 만나 의견을 청취한 뒤 미국으로 출발해 현지시간으로 같은 날 오후 워싱턴DC에 도착한다. 이번 순방의 '하이라이트'인 한미정상회담은 25일 오전 열린다.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협상의 세부 협의를 비롯해 주한미군 유연화 등 안보 현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이후 한미 양국 재계 인사들과의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연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