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흐림동두천 9.0℃
  • 맑음강릉 10.2℃
  • 흐림서울 12.5℃
  • 박무대전 12.4℃
  • 대구 12.6℃
  • 울산 11.7℃
  • 광주 12.8℃
  • 부산 12.7℃
  • 흐림고창 12.8℃
  • 제주 16.3℃
  • 흐림강화 10.8℃
  • 흐림보은 11.0℃
  • 흐림금산 12.1℃
  • 흐림강진군 13.4℃
  • 흐림경주시 12.0℃
  • 흐림거제 12.6℃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시민을 위한 공공시설물을 시민이 디자인한다

서울시, 재미와 즐거움이 있는 도시 서울을 위한 디자인 47점 선정

  • 등록 2014.07.23 10:42:45



서울시는 시민의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시정에 반영하기 위해
2007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공공시설물디자인 시민공모전2014년도 수상작 47점을 선정, 발표했다.

이번 공모전은 재미와 즐거움이 있는 도시 서울을 주제로 서울의 광장, 공원 등에 설치되어 시민들에게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벤치그늘막 등 휴게시설 부문과 공공청사, 지하철 역사, 가로변 등에 설치되어 시민의 생활과 공유공감할 수 있는 휴지통, 음수대, 공중화장실 등 위생시설물 부문’ 2개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했으며, 200여점의 수준 높은 작품들이 응모했다.

작품 심사를 위하여 서울시민디자인위원회 등 관련 분야 디자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휴게시설 부문에서는 황윤철이소영의 낭창낭창벤치가, 위생시설물 부문에서는 홍성민오상길의 말하는 휴지통이 대상으로 선정됐다.

휴게시설물 부문에서 대상을 차지한 낭창낭창벤치는 도시의 바쁜 일상 속에서 바람부는 숲속에서 대나무 기둥에 기대어 앉아있는 사람의 모습을 상상하며 형상화한 벤치로서, 휴식과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 한 벤치다.

위생시설물 부문에서 대상을 차지한 말하는 휴지통은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에게 반갑게 인사를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는 말풍선을 모티브로 하여 말하는 휴지통이란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디자인했다.


이 밖에 휴게시설물 부문에서는 금상 강동한최가영 외 은상 2, 동상 3, 장려상 10, 입선 15점 등이 선정되었으며, 위생시설물 부문에서는 금상 오재환최민경 외 은상 2, 동상 2, 장려상 4, 입선 5점 등 총 47점의 작품이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수상작품은 실물로 제작하여 전시회를 개최한 후 작품 특성에 맞게 장소를 선정·설치해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서 시민의 아이디어를 시정에 반영해 시민이 원하는 공공디자인을 구현한다는데 의미를 두고 있으며, 향후 더욱 적극적으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 넣어, 시민의 몸과 마음의 휴식처가 될 공공시설물을 널리 보급, ‘소통공감에 뿌리를 둔 희망서울의 구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다.


서울시설공단, 수능당일 장애인 수험생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치르는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 고객(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예약은 시험 당일인 11월 13일까지 가능하다. 전화(1588-4388 또는 02-2024-4200)로 신청하면 되고 수능 당일 고사장 입실뿐 아니라 수능 종료 후 귀가 시에도 우선 배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공단은 수험생 우선 배차 안내를 위해 장애인 수험생 대상 문자 발송 및 장애인 단체에 공문 발송도 할 예정이다. 사전 예약을 미처 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에도 수험생의 수능 당일 이용 신청 시 우선적으로 배차할 계획이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원활한 수능시험 응시를 위해 진행하는 서비스인 만큼 수능시험 당일 다른 이용자분들의 협조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 지원을 위해 2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