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가 18세기 조선후기 도성대지도와 '16년 지적도를 대조해 당시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한양도성 내 옛길 620개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내사산, 하천 등 자연지형의 조화 속에 오랜시간 켜가 쌓여 형성됐지만 인구증가, 한국전쟁, 도심재개발 등으로 도심부에서 점점 사라져 드러나지 않았던 길들을 발굴해 낸 것이다.
도성대지도(180×213cm)는 1753~1764년(영조 29~40년)에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성 내 길과 방계, 관아, 교량, 사적 등의 명칭과 위치가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기돼 있다.
서울시는 옛길 620개를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해 서울의 역사적 결을 이어나가고 골목길 재생사업과도 연계해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최대한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시민들이 옛길을 볼 수 있도록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옛길 탐방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서울은 어느 도시보다도 물길이 많은 도시였다.
역사도심 한가운데 청계천이 흐르고 도성의 북쪽 백악산, 인왕산과 남쪽 목멱산에서 흘러내린 많은 냇물들이 청계천으로 합류됐다. 냇물들은 자연스럽게 동네와 동네의 경계를 이뤘다.
서울의 옛길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일제가 도시개조를 위해 역사도심 내 냇물들의 복개를 진행하면서 옛길도 함께 사라져버리고 넓은 도로가 생겨났다.
특히 6.25 전쟁의 폐허 속에서 진행된 도시개발 과정에서 소중한 도시 문화 자원들이 사라져버리고 많은 옛길들이 없어지거나 잊혀졌다.
서울시는 이와관련해 서울옛길 가운데 시민들이 방문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길을 선정하고 14일~27일까지 시청 1층 로비에서 12경 사진‧영상을 전시하는 '서울옛길 12경'을 개최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옛길은 천년고도 서울의 역사와 삶이 깃든 소중한 자산”이라며, “다시 찾아낸 서울옛길은 유지·보전에서 나아가 골목길 재생사업 등과 연계해 가치를 확산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옛길 12경>
① 옥류동천길 : 인왕산을 바라보며 풍류를 즐기던 옛길
② 삼청동천길 : 옛길의 아름다움과 예술이 공존하는 거리
③ 안국동천길 : 명성황후의 생가 감고당이 있던 길
④ 제생동천길 : 한옥의 옛 정취가 살아있는 길
⑤ 북영천길 : 창덕궁 담을 따라 이어지는 옛길
⑥ 흥덕동천길 : 조선시대 성균관을 지나는 옛길
⑦ 정동길 : 대한제국의 역사가 살아숨쉬는 길
⑧ 남산동천길 : 문화와 예술, 쇼핑을 대표하는 상업거리
⑨ 필동천길 : 남산골 한옥마을로 이어지는 옛길
⑩ 묵사동천길 : 중부시장과 방산시장을 지나는 시장길
⑪ 진고개길 : 남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고이던 옛길
⑫ 구리개길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약방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