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TV서울] 김정곤 시인, 공황장애를 시로 이겨낸 첫 시집 ‘나르고 싶다’ 출간

  • 등록 2018.05.30 10:23:51

[TV서울=이준혁 기자] 공황장애를 시로 이겨낸 김정곤 시인 첫 시집 ‘나르고 싶다’가 출간되었다.

공황장애를 가지고 있는 김정곤 시인이 공황장애를 시로 극복한 첫 시집 ‘나르고 싶다’를 출간했다.

경상남도 김해에 거주하는 김정곤 시인은 29살 젊은 청년 시절부터 공황장애를 앓아왔다고 고백하며 그 공황장애의 극복을 시로 이겨냈다고, 시집 출간 작품을 통해 시인의 시적 화자의 고백과 삶의 희망들이 시편들로 구성되어 있다.

공황장애는 내적인 분열의 정신적인 병으로 현대인의 10%가 이 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마치 유명 연예인들이 겪는 공황장애처럼 참으로 극복하기 힘든 정신적 질병이다.

김정곤 시인은 “공황장애는 시로 치유될 수 있는 병이며 희망의 메시지를 가지는 것이고 첫 시집에서 겸허하게 전체 이미지를 희망이 곧, 이 병의 치료제의 역할을 한다고 시집 내용에서 읽을 수 있다”고 밝혔다.

김정곤 시인은 월간 시사문단 공모전에서 데뷔한 시인으로 등단 후 끊임없이 자아에 대한 고백서를 ‘나르고 싶다’ 시집으로 엮었다. 세상의 끝머리에 항상 희망이 좇는 새가 되고 싶고 시집 제목과 표지에 담겨있는 새의 희망을 시인의 관조적인 시적 화자의 꿈을 실었다.

시집에 사랑하는 아내와 자식들이 가장 큰 보물이며 고마운 존재라고 마무리 짓고 있다.

현재 김정곤 시인은 한국시사문단작가협회 회원으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문학 활동도 빈여백동인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시인이다.

이번 시집에 엮은 도서출판/그림과책 대표 손근호 시인은 “시집을 엮으면서 저자인 김정곤 시인과 많은 대화도 나누었고 시의 목적이 희망을 잃은 사람에게 희망을 던져주고 그 희망의 메시지가 들어간 시집이야말로 참 시집이다. 그리고 그 시집이 독자에게 전해 주었을 때 독자는 시인과 독자 사이에 공감되는 점이 좋은 시집이다. 김정곤 시인은 삶의 승리자이고 시의 승리자다. 현대인이 앓는 공화장애라는 병은 아름다운 병력이고 그 병을 통해서 독자는 좋은 작품을 같이 읽고 감동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시집에 독자와 공감대를 이룰 수 있는 작품 한 편을 손근호 시인은 아래 추천작으로 선정하였는데 이 작품은 공황장애병 속에서도 김정곤 시인이 우리 일반인들에게 희망을 가지는 자식에 대한 사랑을 전해 준다. 마치 자식은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작은 행복인 것이다. 그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작은 행복으로 아마 이 세상 모든 아버지들은 그리고 김정곤 시인은 버티고 있는 것이다.

한편 김정곤 시인의 시집은 교보와 영풍에서 판매되고 있다.






정치

더보기
추경호 "계엄 사전인지·공모 없어…민주당의 새빨간 거짓말" [TV서울=나재희 기자] 12·3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은 4일 계엄을 사전에 인지했다거나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의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추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비상계엄 당일 원내 대응 상황 사실관계' 자료를 배포하고 "민주당이 표결 방해라는 날조된 프레임을 짜고 특검에 억지로 꿰맞추기 수사를 주문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의원은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자신의 계엄 연루 의혹을 수사 중인 데 대해 조목조목 해명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계엄 전날인) 12월 2일 의원총회를 열어 전국 당원 수천명이 참석하는 민주당 규탄대회를 4일 국회 본청 앞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며 "대규모 규탄대회 추진 자체가 국민의힘 구성원 누구도 3일 계엄을 알지 못했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계엄 당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의 통화한 데 대해선 "집에서 국회로 이동 중 홍 전 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상황을 파악하고 향후 정국 우려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며 "약 10분 후 한 전 총리에게도 상황 파악을 위해 전화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평시에도 총리는 원내대표에게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