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한국, 백만장자 작년 105만명

  • 등록 2021.06.23 13:50:08

 

[TV서울=신예은 기자] 스위스계 투자은행(IB) 크레디트 스위스가 22일(현지시간) 발간한 '2021 글로벌 웰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 세계 성인 1인당 평균 순자산(부채를 뺀 재산) 규모는 7만9,952달러로 1년 전보다 6.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코로나19 여파로 각국 중앙은행이 초저금리 정책을 쓰면서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가격이 오름세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전세계 상위 1%에 들기 위한 순자산 규모도 1년 전 98만8,103달러에서 지난해 105만5,337달러로 증가했다.

 

지난해 전세계에서 100만달러 이상의 순자산(부채를 뺀 재산)을 보유한 백만장자는 5,608만4천명으로 추정됐다.

 

 

나라별로는 미국이 전체의 39.1%인 2천,195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중국 527만9천명, 일본 366만2천명, 독일 295만3천명, 영국 249만1천명, 프랑스 246만9천명, 호주 180만5천명, 캐나다 168만2천명, 이탈리아 148만명, 스페인 114만7천명, 한국 105만1천명으로, 네덜란드 103만9천명, 스위스 103만5천명 등으로 나타났다.

 

나라별 성인 인구 가운데 백만장자의 비율은 스위스가 14.9%로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호주 9.4%와 미국 8.8%이며, 한국의 경우 이 비율이 2.5%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 순자산이 5천만달러를 넘은 최상급 부유층은 21만5,03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420명(23.9%) 늘었다.

 

지난해 전세계의 성인 1인당 순자산(부채를 뺀 재산) 규모는 평균 7만9천952달러로 1년 전보다 6.0% 증가했다.

 

 

성인 1인당 평균 순자산이 가장 많은 국가는 스위스로 67만3,960달러로 집계됐으나, 전체 성인을 재산 순위에 따라 일렬로 세울 경우 중간에 해당하는 중간값은 호주가 23만8,070달러로 가장 많았다.

 

한국은 성인 1인당 순자산 중간값이 8만9,670달러로, 전 세계 19번째로 집계됐으나 평균값은 상위 20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크레디트 스위스는 매년 각국 정부의 가계 자산 조사 등을 기초로 해 성인의 달러화 환산 순자산 규모를 추정,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