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내달 아파트 입주 2만2천세대…2014년 이후 12월 최소 물량

  • 등록 2023.11.27 09:02:11

 

[TV서울=이현숙 기자] 내달 아파트 입주 물량이 2천200세대가량으로 예상돼 2014년 이후 12월 물량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종합 프롭테크 기업 직방에 따르면 오는 12월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만2천196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총 세대수 30세대 이상인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내달 물량은 이달(3만2천206세대) 대비 31%, 작년 동월(2만4천28세대) 대비로는 8% 감소한 규모다.

 

12월 물량으로만 보면 2014년(1만6천495세대)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기도 하다.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물량이 급감한 데 따라 올해 12월 입주 물량이 전반적으로 줄었다.

내달 서울은 지난 5월 이후, 인천은 2021년 3월 이후 처음으로 입주 물량이 없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내달 수도권 입주 물량은 경기에서 발생할 7천518세대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이달(1만7천287세대) 대비 57%, 작년 동월(1만2천710세대) 대비 41% 감소한 수치다.

 

반면 내달 지방에서는 이달(1만4천919세대)과 비슷한 수준인 1만4천678세대가 입주한다.

부산(3천796세대), 충남(2천492세대), 경남(2천475세대), 대구(2천279세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입주가 이뤄진다.

한편, 내년 입주 물량은 전국 기준 총 30만6천403세대로 집계됐다.

올해(32만1천218세대)보다 5% 감소했지만 큰 차이는 없는 수준이다.

다만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입주 물량 감소가 두드러진다.

내년 수도권 입주 물량은 올해(17만2천297세대)보다 18% 줄어든 14만737세대다.

특히 서울은 1만1천376세대로 올해(3만470세대)보다 63% 급감할 예정이다.

직방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공급 부족, 신축 희소성 등이 반영되면서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방의 경우 올해(14만8천921세대)보다 11% 많은 16만5천666세대가 내년 입주하면서 수도권과 온도 차를 보일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대구(2만3천403세대)의 입주 물량이 가장 많고 이어 경북(2만2천960세대), 충남(2만1천504세대), 경남(1만8천765세대), 부산(1만4천236세대) 등의 순이다.







정치

더보기
민주,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정지' 형소법 개정안 법사위 상정 [TV서울=나재희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일 전체회의에서 대통령 당선 시 진행 중인 형사재판을 정지하도록 하는 내용의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상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상정에 반대했지만, 표결 결과 재석의원 14명 중 9명 찬성으로 개정안은 상정됐다. 민주당은 이날 법안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회부해 심사한 뒤 다음 주 중 전체회의에서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김용민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은 '피고인이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때에는 법원은 당선된 날부터 임기 종료 시까지 결정으로 공판 절차를 정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306조 6항을 신설했다. 현행 헌법 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訴追)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내란·외환 이외의 죄로 이미 기소돼 재판받던 중 사후에 대통령으로 당선된 경우 형사재판을 계속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선 명확한 규정이 없다. 개정안에 따르면 대통령에 당선된 피고인의 형사재판은 재임 기간 정지된다. 김 의원은 법안 제안 이유에서 "현행 법령 체계에서는 헌법상 불소추특권과 실제 재판 운영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에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