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전성수 서초구청장 "민생경제에 활력…'3·6·9행정' 펼 것"

  • 등록 2024.01.02 08:58:37

 

[TV서울=심현주 제1본부장] 전성수 서울 서초구청장은 2일 "3·6·9 행정(3가지 원칙, 6가지 중점분야, 9가지 핵심사업)으로 능동적이고 힘차게 행정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전 구청장은 2024년 신년사에서 이렇게 밝히고 3가지 원칙으로 공감행정, 성과행정, 나눔행정을 제시했다.

그는 6가지 중점 분야로는 어려운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비롯해 ▲ 안전관리 ▲ 약자와의 동행 ▲ 문화·체육 ▲ 미래세대 지원 ▲ 서초의 백년대계 준비 등 6가지를 꼽았다.

전 구청장은 "작년 말 서울시 최초로 대형마트, 중소유통, 소상공인과 상생협약을 체결해 일요일에도 편하게 마트에 갈 수 있게 됐다"며 "올해도 유통업체와 소상공인이 상생할 수 있는 골목상권 활성화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어린이공원을 전수조사해 위험물질이 있는지 살피는 한편 골목 구석구석에 이상행동을 감지하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2026년까지 1천대로 늘리고 이면도로에는 스마트보안등을 설치하겠다고 했다.

99세 생일을 맞이한 어르신에게는 장수축하금 100만원을 지급하고, 국가보훈 대상자는 보훈예우수당을 월 10만원으로 인상하며 참전유공자 위문금도 연 45만원에서 84만원으로 2배 가까이 늘렸다고 그는 설명했다.

또 악기거리, 음악·축제거리, 사법·정의허브, 책문화거리, 관광·쇼핑거리 등 다섯 가지 테마의 반포대로 '문화벨트' 사업도 올해부터 가시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 구청장은 "서초 청년을 대상으로 4차 산업 혁명 소프트웨어 과정과 해외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서초동에 청년센터를 새롭게 열어 취업·자기계발 프로그램을 지원하겠다"며 "옛 화물터미널부지 일대 고밀도 복합개발의 물꼬를 튼 데 이어 GTX-C 복합환승센터와 서초타운 복합개발도 지혜롭게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9가지 핵심사업으로는 ▲ 우면산에서 한강까지 이어지는 문화벨트 ▲ 사법·정의허브 추진 ▲ '서초 행복길' 조성 ▲ 맑은 물이 흐르는 쾌적한 서초 ▲ '착한 서초코인' 확대 ▲ 시니어라운지 및 스마트시니어 사업 확대 ▲ 속도감 있는 재건축 사업 ▲ AI 미래융합혁신지구 조성 ▲ 주민 숙원사업 해결 등을 들었다.

 

특히 여의천에 수질정화장치를 설치하고, 올해까지 신원천 개수공사를 완료해 물이 흐르지 않던 신원천에 양재천, 여의천의 물을 끌어와 악취를 해결하고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예정이다.

전 구청장은 재건축 사업에 대해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한강변과 연계한 반포권역과 단독주택지가 밀집한 방배권역, 그리고 모아타운의 양재권역 등은 지구별 특징을 충분히 고려해 재건축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구로구, 기본사회추진단 회의 개최

[TV서울=신민수 기자] 구로구가 3일 오후 2시, 구청 창의홀에서 구로구 기본사회추진단(TF) 회의를 개최했다. 구로구는 주민이 사회안전망 속에서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을 수 있는 공동체 조성을 위해 ‘구로형 기본사회’의 비전과 과제 발굴을 위해 개최하게 됐다. 기본사회추진단장인 최원석 부구청장을 비롯해 관련 부서장 등 28명이 참석해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기본사회 구현을 위해 △사회서비스 △소득 △혁신 행정 △시민사회 등 4가지 분야를 선정해 논의를 진행했다. 사회서비스 분야는 도움이 필요한 모든 구민에게 복지, 보건의료, 교육 등의 분야에서 상담, 돌봄,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는 이 분야를 좀 더 확대해 구민의 삶의 질을 높이자고 했다. 소득 분야에서는 공공·사회적 일자리를 통한 근로소득과 정책과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활동 지원 정책을 통한 사업소득을 늘리자고 의견을 모았다. 혁신 행정 분야에서는 변화하는 행정 환경에 대응해 주민 중심의 자치행정과 데이터 기반의 AI(인공지능) 행정을 구현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시민사회 활성화 분야에서는 지역사회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공익 활동, 사회 연대 경제, 노동 인권에 대한 지원을 늘리자는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