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권태석 인천본부장]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행정구역인 중구와 동구의 내륙 지역이 내년 7월 제물포구로 재편될 예정인 가운데 제물포구의 활성화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인천 동구 도시재생지원센터는 28일 오후 동구 송현 1·2동 복합청사에서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서 이남식 재능대학교 총장은 "동구는 인천 근대문화의 발상지이자 근대 교육의 요람이며 항만·물류 중심지였지만 원도심 쇠퇴와 인재 유출로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업이 특정 기술과 정보를 도입하는 동시에 기업 내부의 자원이나 기술을 외부와 공유하며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업과 주민 간 상호 작용을 통한 로컬 콘텐츠 창출도 중요하다"며 "우리 재능대도 지역에 혁신을 불어넣는 로컬 크리에이터 양성을 강화하고, 소상공인과 협력해 배다리 헌책방 거리 등 지역 고유의 자산을 미래 전략 자산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배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는 "제물포구는 역세권인 인천역과 동인천역, 공업지역인 일신전기와 화수부두, 역사문화자산인 올림포스호텔, 신포국제시장 등 노후 자산을 혁신과 특화를 통해 재생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자족성 향상, 접근성과 연계성 개선, 친환경 건축계획과 조경, 고품격 디자인, 주민 참여 강화 등을 토대로 지속 가능한 도시 근린주구계획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병식 동구 도시재생혁신과장은 "생활권 계획을 반영한 제물포구 도시재생 전략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며 "빈집 문제 관련해서도 공공의 적극적 매입, 점 단위가 아닌 생활권 단위의 빈집 정비사업 등 장기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구와 동구 내륙지역은 내년 7월 제물포구로 통합되고, 중구 영종도는 영종구로 분리 독립한다.
중구·동구는 1968년 자치구 제도 도입 당시 남구·북구와 함께 인천 최초의 4개 구로 출범해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인천 최대 중심지였지만, 원도심 쇠퇴로 쇠락해 '제물포 르네상스' 등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