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행정


정부 "화재 피해없는 전산시스템 순차 가동"…수습 본격화

국정자원 네트워크 50%·보안장비 99% 재가동 완료…멈췄던 항온항습기도 정상 가동
647개 중 직접 피해없는 551개 가동·정상 여부 점검…현장감식 등 원인 조사 착수

  • 등록 2025.09.28 11:08:33

 

[TV서울=이현숙 기자] 정부가 지난 26일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의 전산 시스템을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점검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국정자원 대전 분원 내 네트워크 장비 재가동을 진행해 28일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는 전체 767대 중 763대(99%) 이상 재가동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개는 전날 오후 모두 화재 현장에서 반출을 완료했다.

또 안정적인 전산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이날 새벽 5시 30분 복구를 완료해 현재 정상 가동하고 있다.

 

행안부는 통신·보안 인프라 가동이 완료되면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없는 551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서비스 정상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국정자원 대전 분원에는 모두 647개의 정부 전산 시스템이 있다. 이 중 96개는 이번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나머지 551개는 정보시스템을 가열로부터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 중단한 바 있다.

행안부는 화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 시스템(96개)의 복구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우선 복구되는 551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고 전 상황으로 복구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책임 있는 태도로 최대한 신속하게 행정서비스를 복구 중에 있으며, 복구 진행 상황과 원인 규명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화재 원인 조사도 본격화된다.

 

소방과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국정자원에서 현장 감식 논의 등에 나선다.

앞서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 국정자원에서 났던 화재를 완전 진화를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정치

더보기
추석 민심 잡기... 여야 '조희대 사법부 때리기' 대립 격화 [TV서울=나재희 기자] 다음 달 3일 시작되는 일주일간의 추석 연휴를 앞두고 '차례상 민심'을 잡기 위한 여야의 의제 선점 싸움이 격화하고 있다. 그 한가운데에 검찰청 폐지와 '조희대 사법부 때리기'로 대변되는 이른바 사법 개혁이 자리 잡으면서 그 당위성을 놓고 여야 대치도 가팔라지는 국면이다.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히 박탈) 입법에 성공한 더불어민주당의 강경파가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당도 대법관 증원 등을 위한 사법개혁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이에 대응해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검찰 해체와 사법부 때리기로 삼권 분립에 기반한 헌정 질서가 흔들리고 있다면서 대규모 장외집회를 통해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을 결집하고 있다. 민주당 법제사법위 위원들은 30일 법사위에서 이른바 '사법부 대선 개입 의혹' 청문회를 개최키로 하고 조 대법원장의 출석을 압박하고 있다. 법사위 여당 간사인 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지난 26일 MBC 라디오에서 "조 대법원장은 당연히 청문회에 나와야 한다"며 "만약 안 나온다면 저희가 다시 증인을 신청하는 방법이 있고, 한편으론 불출석에 대한 고발 조치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내 강경파를 중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