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8.2℃
  • 맑음강릉 23.8℃
  • 맑음서울 18.1℃
  • 구름조금대전 18.2℃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19.3℃
  • 구름조금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5.8℃
  • 구름많음제주 18.6℃
  • 맑음강화 16.4℃
  • 구름많음보은 18.9℃
  • 구름많음금산 18.5℃
  • 구름많음강진군 19.4℃
  • 구름많음경주시 26.4℃
  • 구름많음거제 17.6℃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강동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 15억 원 지원

  • 등록 2018.02.07 13:24:04

[TV서울=함창우 기자] 강동구가 올해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에 15억 원을 지원한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지역사회와 학교가 협력해 아이를 키우는 교육모델 구현을 목표로 한다. 2015년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상생과 협력의 글로벌 교육혁신도시 서울이라는 공동 비전을 선언하면서 시행됐다.

강동구는 2015년 서울 동남권 지역 최초로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시작했다. 우선지구로 시작해 2016년 혁신지구 지정, 20172년간 재지정이라는 성과를 이뤄 올해로 혁신교육지구 4년 차다.

지난 3년 동안 지역 내 교육공동체를 발굴하고 청소년들이 마을의 주인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왔다. 첫해에는 3억 원, 201615억 원, 2017142천만 원을 지원했다.

 

2018년에는 15억 예산을 지원해 마을-학교 연계사업, 청소년 자치활동, 민관학 거버넌스 운영, 지역 특화사업 등 4개 분야 34개 사업을 진행한다. 올해는 혁신교육의 보편성 확보에 역점을 뒀다.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1~2학년 돌봄교실에 지원하는 전래놀이’, 3학년 교과과정과 연계한 우리마을 탐방이 있다. 5~6학년은 목공 수업, 요리 수업, 전환기 진로체험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중학생의 경우 2017년에 이어 강동구 내 모든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수업에 마을교사와 연계해 주제선택 활동을 지원한다.

3, 3 학년전환기 학생들에게는 찾아가는 노동인권교육을 실시한다. 부당한 고용사례로부터 청소년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노동인권 친화적인 교육문화를 조성해간다는 계획이다.

이해식 구청장은 강동구와 강동송파교육지원청, 지역사회와 학교가 적극적으로 손을 잡고 이상적인 공교육 혁신 모델을 보여줬다앞으로도 교육공동체 모두가 주인이 되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동구는 교육 분야 발전에 누구보다 앞장서 왔다. 2015년 시작한 혁신교육지구 사업 외에도 2007년 평생학습도시 지정, 2010년 전국 최초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개관, 2012년 서울시 자치구 최초 진로직업체험센터 상상팡팡개관, 2011년부터 좋은 중학교 만들기 사업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118일 교육부가 주관하는 9회 방과후학교 대상지방자치단체(지역사회파트너)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역 ‘지하안전지도’ 구축 시급… 심도 깊은 탐사 병행 필요”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22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서울시 전역의 지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밀 탐사 확대와 ‘지하안전지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활용해온 GPR(지표투과레이더)은 지하 2미터 내외 탐사에 한계가 있어, 보다 깊은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저주파 탐사 병행이 필요하다”며 “저주파 탐사는 해상도는 낮지만 보다 깊은 탐사가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는 만큼, 복합탐사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비롯해, 현장 점검 결과 지하 공동과 노후 하수도 구조물 문제가 다수 확인됐다”며 “광진구 역시 지반침하 가능성이 제기된 우려 지역으로, 조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하 매설물, 공동구, 지하철 공사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하안전지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현재는 침하가 발생한 구역만을 대상으로 한 부분 보수가 이뤄지고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선제적인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된다”며 “광진구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