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TV서울] 아마노코리아, 세계보안엑스포 참가… 최신 스마트 주차관제 장비 선보여

  • 등록 2019.03.07 09:56:19

[TV서울=최형주 기자] 세계적 주차관제시스템 기업 아마노코리아는 ‘세계보안엑스포 2019’에서 ‘신형 스마트 주차관제솔루션’을 선보인다.

2019 세계보안엑스포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박람회로 최신 방범·보안 기술과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마노코리아는 보안전시회에 매년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기기들을 선보이고 있어 국내는 물론 해외의 바이어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올해 엑스포에서는 스마트형 통합 LPR, 스마트 LPR, 스마트 차단기 등 임베디드 시스템이 탑재된 신형 스마트 주차관제 장비를 선보일 예정이다.

신형 스마트 주차관제솔루션 기기인 스마트형 통합 LPR, 스마트 차단기는 임베디드 솔루션이 탑재되어 스마트차량번호 인식과 통합차단기, 무인 정산기 등의 스마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2개의 카메라 렌즈로 양방향 차량번호판 인식이 가능하고 기존 LPR 카메라와 비교해 더욱 저렴한 가격에 출시되어 긍정적인 평과 함께 신규사업자들의 문의가 이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아마노코리아는 부스 내 모니터를 통해 주차관제, 보안, 조명제어, 모바일솔루션, 전기차충전 영상 등을 통해 아마노코리아의 주차관제솔루션을 소개하고 시연할 예정이다. 또한 통합관제센터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주차관제모습을 현장감 있게 전달하여 주차업계 1위 기업의 진면모를 보여주고자 한다.

아마노코리아는 Mobile/Web/Cloud 기술을 주차시스템 및 주차장 운영사업에 접목하고 미래기술인 Al/IOT/Big Data/AR/VR 기술 등을 주차시스템에 도입하여 차별화된 스마트 주차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도약하고 있다며 많은 고객들이 아마노코리아의 장비를 직접보고 시연하여 아마노의 경쟁력과 품질을 직접 확인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올해로 19회를 맞이하는 SECON은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한 15개국 500여 개 국내외 보안 핵심 기업들이 참가하고, 국내외 바이어 및 참관객 4만9000명이 참관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질 예정이며, 아마노코리아 부스는 D25번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토부, "용인∼과천 지하도로 신설·창원∼진영 도로 확장 예타대상 선정"

[TV서울=나재희 기자] 국토교통부는 20일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용인∼과천 지하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창원∼진영 고속도로 확장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거제∼통영 고속도로 건설사업과 국도 15호선 고흥∼봉래 확장사업은 예타를 통과했다. 먼저 영동선 용인∼과천 지하 고속도로는 용인과 수원, 과천 구간을 잇는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거리는 지하터널 21.1km 포함 30.0km다. 이중 용인∼수원 구간은 기존 고속도로 하부에 지하 고속도로를 건설해 영동고속도로 상부의 상습 차량정체 구간을 해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원∼과천 구간은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이수∼과천 도로와 연계한 새로운 남북축 고속도로 신설을 통해 수도권 남부지역에서 과천, 서울 방향으로의 통행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2021년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과 20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돼 추진된 사업으로, 지난 6월 예타 대상 사업으로 신청해 이번에 선정됐다. 남해고속도로 창원∼진영 고속도로 확장사업은 창원 분기점(JCT)∼동창원IC 4.8km 구간을 현재 8차로에서 10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이 구간은 일일 교통량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