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1.1℃
  • 흐림강릉 11.5℃
  • 흐림서울 13.9℃
  • 흐림대전 11.7℃
  • 흐림대구 10.7℃
  • 흐림울산 16.3℃
  • 흐림광주 14.1℃
  • 흐림부산 16.9℃
  • 흐림고창 14.8℃
  • 흐림제주 18.9℃
  • 흐림강화 12.8℃
  • 흐림보은 8.9℃
  • 흐림금산 8.0℃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9.7℃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서울시, ‘봄철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 예방약’ 4만개 살포

미끼예방약 접촉 시 가려움증과 알레르기의 발병 원인이 되므로 각별한 주의 요구<p>“산행 시 동행하는 반려견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목줄 착용 권장”

  • 등록 2015.04.01 13:53:06

 

[TV서울=도기현 기자]서울시가 광견병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

서울시는
46()부터 424()까지 야생동물을 통해 전파되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봄철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 예방약’ 4만개를 집중 살포한다고 밝혔다.

살포지역은 너구리의 주요 서식지인 북한산
,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관악산, 우면산, 용마산과 망우리, 은평구 수색신사동 일대의 야산이며 양재천, 탄천 및 안양천 주변에도 뿌려진다.

지형에 따라
50~100m 간격으로 살포될 예정이며, 살포되는 길이는 약 115km에 달한다.

광견병 미끼 예방약은 가로
3cm, 세로 3cm의 갈색고체로 어묵반죽이나 닭고기 반죽 안에 예방백신을 넣어 만들었으며, 너구리 등 야생동물이 먹으면 광견병 항체가 생기게 된다.

살포방법은 한 장소에
18~20여 개씩 뿌려서 너구리 등 야생동물이 찾아 먹기 쉽게 하며, 살포장소에는 경고문 등 안내판을 부착하여 시민들이 만지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미끼예방약 접촉 시 가려움증과 알레르기의 발병 원인이 되므로 살포 후
4주가 경과하면 먹지 않은 미끼예방약은 수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시는, 광견병 바이러스는 야생 너구리의 침이나 점막 속에 존재하며 주로잠복기(1개월 전후)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므로 반려견과 함께 등산이나 산책 시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시민의 당부를 부탁했다.

광견병에 걸린 동물의 증상은 쉽게 흥분하거나
, 과민해지고, 공격성향을 보이며, 거품 섞인 침을 흘리고, 심하면 의식불명 후 폐사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사람이 야생동물에게 물렸을 경우는 상처부위를 비눗물로 씻어 낸 후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 반려동물이 광견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동물과 접촉했을 시 반드시 동물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은
광견병은 사람에게 전염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므로 예방이 최우선이라며 시민들이 해당 지역에서 미끼예방약을 발견 시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 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