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1.1℃
  • 흐림강릉 11.5℃
  • 흐림서울 13.9℃
  • 흐림대전 11.7℃
  • 흐림대구 10.7℃
  • 흐림울산 16.3℃
  • 흐림광주 14.1℃
  • 흐림부산 16.9℃
  • 흐림고창 14.8℃
  • 흐림제주 18.9℃
  • 흐림강화 12.8℃
  • 흐림보은 8.9℃
  • 흐림금산 8.0℃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9.7℃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서울시, '글로벌 최우수 환경도시상' 수상

이클레이‧세계자연기금 공동주관 「2015 세계환경도시상」 최고 영예<p>환경‧에너지 정책에 시민참여 이끌고 강력한 정책 추진으로 타 메가시티 모델 됐다는 평

  • 등록 2015.04.10 12:41:46

 

[TV서울=도기현 기자]

지속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이클레이, ICLEI)와 세계자연기금(WWF)이 공동 주관하는 2015 세계환경도시상(Earth Hour City Challenge Awards, EHCC)의 최고 영예인 '글로벌 최우수 도시상'에 선정됐다.

세계환경도시상
'은 기후친화적, 친환경적 도시로의 변화를 위한 세계 도시들의 노력과 사례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상으로, 2013년 시작해 올해로 3회째다.

각 도시별로 친환경 도시로 변화하기 위한 노력
(온실가스 배출 감축 공약, 활동, 성과 등)ICLEI가 운영·관리하는 보고 플랫폼인 '탄소등록부(cCR)'에 등록하면, UN, 국제기구 및 국제기관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심사위원단의 평가를 통해 선정한다. 올해는 총 163개 도시가 등록했다.

평가 대상이 됐던 세계
163개 도시 중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한 도시를 '글로벌 최우수 도시'로 선정하며, 각 국가에서 우수한 활동을 펼친 도시는 '국가별 우수 도시'로 선정한다.

서울시는 작년 시상식에서 한국 도시 중 유일하게
'국가별 우수 도시상'을 받은 바 있으며, 올해는 전년(66개 도시)보다 2배 이상 많은 총 163개 도시가 참가한 가운데 최우수 도시상을 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최고의 환경도시로 인정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원전하나줄이기', '에코마일리지'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정책에 시민 참여를 이끌어냈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통해 탄소배출을 감소시키는 등 혁신적 사고와 강력한 정책 추진력이 다른 메가시티의 모델이 된다는 평을 받았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9() 20시 세빛섬 컨벤션홀에서 열린 '이클레이 25주년 환영만찬'에서 열린 '2015 세계환경도시상 시상식'에서 '글로벌 최우수 도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편
, 올해 국가별 우수 도시상(15개 도시)파리(프랑스) 벤쿠버(캐나다) 자카르타(인도네시아) 싱가포르(싱가포르) 벨루오리존치(브라질) 츠와니(남아프리카공화국) 몬테리아(콜롬비아) 코르도바(스페인) 라티(핀란드) 타네(인도) 페탈링 자야(말레이시아) 푸에블라(멕시코) 고텐버그(스웨덴) 핫야이(태국) 에반스톤(미국)이다.

장혁재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아가는 세계적 흐름 속에서 서울이 저탄소도시 실현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에너지 정책들이 높은 평가를 받게 돼 추진 동력이 한층 커졌다천만시민이 함께 에너지 절약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고 효율적으로 생산·소비하는 환경친화적 도시, 에너지 자립도시로 거듭나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