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10.5℃
  • 흐림강릉 14.1℃
  • 맑음서울 12.9℃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7.2℃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영등포구, 기업 애로사항 듣고 해결하는 ‘기업희망드림서비스’ 운영

기업 방문상담, 상담창구, 온라인 상담 등 통해 기업의 목소리 들어<p>1분기 동안 총 22건 애로사항 접수 처리 및 해당 기관으로 건의해

  • 등록 2015.05.07 13:56:00


[TV서울=도기현 기자]

영등포구(구청장 조길형)가 영세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희망드림서비스가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희망드림서비스는 관내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 창업예정자를 대상으로 기업 운영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등을 청취해 해결해주는 사업으로 기업 방문상담 상담 창구 온라인 상담을 통해 기업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다.

구는
1월부터 시작한 이 사업을 통해 1분기 동안 총 22건의 기업 애로사항을 발굴했다. 경영, 기술, 인프라, 세무 등 기업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이 접수됐다.

접수된 애로사항은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 관련 기관에 인계해 건의했다. 실제로 22건의 애로사항 중 11건을 구가 직접 처리했고, 타 기관에 관련된 내용은 중소기업청 산하 중소기업옴부즈만(10)이나 경찰서(1) 등에 인계해 규제 개선사항을 건의했다.

구에서 해결한 애로사항에는 통신판매업 등록절차 문의처럼 일반적인 내용부터
창업지원센터 방음문제 해소 건의 중소기업 지원자금 문의 창업보육실 공급확대 요청 등 기업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담긴 사항도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주기 위해 노력한 결과 실제로 좋은 성과가 나타난 사례도 있었다
.

사물인터넷 사업을 하는
O사의 경우 전략적인 기업 홍보가 필요하다고 애로사항을 호소, 구는 지난 4월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때 부스와 무대장치 설치를 지원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 결과 O사는 관광객은 물론 해외바이어에게도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홍보할 수 있었다.

자치구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법 개정이나 규제 개혁은 타 기관에 이첩해서 진행 중인 것도 있다
. 세무관할구역과 지자체 관할구역 일치 요청 인쇄업 면세사업자 인정 요구 건축물 용도변경 요건에 입주동의율 완화 장기고용자 지원제도 건의 등은 현재 중소기업옴부즈만에서 법 개선 검토 중이다.

구는 영세기업의 목소리를 듣고 기업 환경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기업희망드림서비스를 확대해간다는 방침이다
. 이를 통해 지역경제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조길형 영등포구청장은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영세기업과 소상공인의 성장과 경쟁력을 강화해 기업하기 좋은 영등포를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