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7.9℃
  • 맑음대전 7.1℃
  • 맑음대구 7.8℃
  • 구름많음울산 9.5℃
  • 구름조금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3.0℃
  • 맑음고창 7.4℃
  • 구름많음제주 15.8℃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3.8℃
  • 맑음금산 5.2℃
  • 구름많음강진군 8.4℃
  • 구름조금경주시 6.5℃
  • 흐림거제 10.6℃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고려 목판본 '감지금니묘법연화경'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 고려~조선시대 목판인쇄술과 초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가치 있어

  • 등록 2015.06.17 16:07:08



[TV서울=도기현 기자] 

서울시가 고려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목판인쇄술과 초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감지금니묘법연화경1 묘법연화경1~3 선종영가집(언해) 3건을 18일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

지정종별 및 지정번호

문화재명

수량

 

규격(cm)

조성연대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375

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一)

1()

26.9×17.0

15세기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376

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

2()

32.1×19.5

조선초기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377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1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一)

1()

1()

21.3×14.1

고려시대

 

이들 3건은 소유자로부터 유형문화재 지정 신청을 받아 사전 조사를 거쳐 지난 529일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동산분과 심의에서 서울의 문화유산으로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받은 유물들이다.

감지금니묘법연화경은 검푸른 종이(紺紙, 감지)로 된 표지에 금가루(金泥, 금니)를 사용해 묘법연화경권제일(妙法蓮華經卷第一)’이라 쓴 고려시대 목판 불경이다.

묘법연화경은 법화경이라 약칭하기도 하는데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종류의 한역본 중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 8권이 가장 널리 보급, 유통되어 있다.

묘법연화경은 국내외에 다양하게 산재해 있지만, 감지금니묘법연화경은 전체 7권 중 1권만 남은 낙질(落帙)이기는 하나 매우 이른 시기의 것이고 변상도(석가모니가 설법하는 그림)를 포함하면서 사이즈가 작고 정교한 소자본(小字本)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희귀본이라는 점에서 이번에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377호로 지정됐다.

변상도는 목판 판각으로 6면에 걸쳐 석가모니의 설법 상황을 담은 영산회상도를 표현, 본문은 소자(小字)로 판각되었으며 모두 14장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시는 감지금니묘법연화경이 학술적으로 불경과 불교학 및 서지학의 연구에는 물론 고려시대 목판인쇄문화의 연구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묘법연화경1~3(妙法蓮華經 卷一 ~ )은 보물 제1153호와 동일한 판본으로 현전하는 권책 수도 동일한 15세기 새겨진 목판 불경이다. 일부 결락된 부분이 있으나 전해오는 책(傳本, 전본)중에 지금 지정되는 책의 판본이 극히 드물다는 가치가 인정돼 이번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5호로 지정됐다.

이 책은 전7권 중에 권1~331책이다. 앞부분의 10장까지는 아랫부분이 보물 제1153 보다 온전하다. 그러나 보물 제1153호보다 후인본(後印本)이며, 139장 후면과 제40장 그리고 권2의 제17장이 결락되어 있고 간행 시기를 알 수 없다.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는 당나라 때 현각선사가 저술한 수행하는 10가지 방법을 우리 글로 번역한 조선초기 목판본 책이다.

원본 선종영가집은 당나라 영가(永嘉) 현각선사(玄覺禪師)가 선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것을 적은 글에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수정하여 항목별로 정리해 놓은 책이다.

특히 세조가 토를 달고 신미(信眉) 등이 한글로 번역했다는 점에서 이 언해본은 조선전기 한글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훈민정음이 창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의 글자와 말을 그대로 담고 있어 한글의 변천사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비록 본문의 일부가 결락되었지만 조선 초기 간경도감본의 상태를 제대로 보여주는 자료로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이며 ·2책을 모두 갖춘 것은 거의 드물고 동일한 판본이 보물 774호 일부와 774-2호로 지정되어 있어 이번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6호로 지정됐다.

한편, 이번 지정으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는 총 342건이 되었고, 서울의 지정 문화재는 총 513건이 됐다.


120다산콜, 주한스페인·스웨덴상공회의소와 외국인 상담 활성화 협력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이사장 이이재)은 11월 3일,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회장 로제 로요) 및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회장 그레이스 오)와 ‘외국어 상담 서비스 홍보 및 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120다산콜재단’은 “서울시 민원을 전화 한 통화로 해결한다”는 슬로건을 내걸고 120다산콜센터로 출범하여 종합적·전문적 시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 만족 및 소통 편의성 제고에 힘써오고 있다.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와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 는 한국과 스페인·스웨덴 양국 간의 경제와 문화 교류를 촉진하며, 양국 기업의 한국 진출, 한국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기관이다 양 기관은 ▴120다산콜 외국어 상담 서비스에 대한 홍보 자료 제공 ▴스페인·스웨덴 국적 경제인의 서울 거주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상호 정보 공유 ▴경제·생활 관련 상담 연계 및 지원 ▴기타 상호 교류·협력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로제 로요 주한스페인상공회의소 회장은 “서울에서 생활하는 스페인 경제인과 교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편의 제공을 위해 120다산콜재






정치

더보기
박지원, "北김영남 사망에 조의… 정부, 대북특사로 파견해달라"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이 4일 김영남 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사망에 조의를 표하며 대북 특사 파견을 자청했다. 박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유족들과 북한 주민들께 심심한 위로를 드리며 여건이 허락한다면 제가 조문 사절로 평양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김 전 상임위원장에 대해 "훤칠한 키에 미남, 조용한 외교관 출신으로 저와는 10여 차례 만났고 김정일·김정은 두 위원장께서도 김 (전) 상임위원장을 깍듯이 모시던 기억이 새롭다"고 언급했다. 이어 "과거 김대중 대통령(DJ) 서거 때 북한에서 김기남 비서 등 조문 사절단이 오셨고, 김정일 위원장 조문 사절로 고 이희호 여사께서 다녀오셨다"며 사절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북한도 (특사를) 받아들이고, 우리 정부에서도 박지원을 특사로 보내시길 간곡히 호소한다"며 "오늘 국회에서 만난 정동영 통일장관께도 말씀드렸고, 오후 국가정보원 국정감사가 있으니 국정원장께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 출신인 박 의원은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던 2000년 김 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북측과 접촉, 6·15 남북정상회담 성사 과정에서 막후에서 역할을 했다. 그는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