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현대자동차그룹, ‘2021 레드 닷 어워드’서 17개 수상

  • 등록 2021.08.26 17:16:31

 

 

[TV서울=이현숙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일 노르트하인 베스트팔린 디자인센터(Design Zentrum Nordrheim Westfalen)가 주관하는 '2021 레드 닷 어워드 :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Red Dot Award : Brands&Communication Design 2021)'에서 최우수상(Best of Best) 2개, 본상(Winner) 15개 총 17개 디자인상을 받았다.

현대자동차그룹 신기술 캠페인 '리틀빅 이모션(Little Big e-Motion)'은 '필름&애니메이션(Film&Animation)' 부문에서, 현대자동차 전기차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Jong-e (Hyundai EV Infotainment System: Jong-e)'는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 디자인(Interface&User Experience Design)' 부문에서 부문별 뛰어난 출품작에 수여되는 '레드 닷 어워드 : 최우수상(Red Dot Award : Best of Best)'을 수상했다.

리틀빅 이모션은 자동차와 탑승자를 교감할 수 있게 하는 감정 인식 차량 컨트롤 기술이 적용된 키즈 모빌리티가 어린이의 치료 과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젝트 영상으로, 지난달 세계 3대 광고제 중 하나인 '2021 미국 뉴욕 페스티발 광고 어워드(2021 New York Festival Advertising Award)'에서 은상을 받기도 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신기술 캠페인은 기술과 사람의 조화로운 세상을 위해 기술의 가치 있는 사회적 활용에 초점을 맞춰 4년 전부터 시작됐으며, 2017년 '재잘재잘 스쿨버스'가 칸 국제 광고제 동상을, 2019년 '조용한 택시'는 칸 국제 광고제 은상과 뉴욕 페스티벌 동상을 차지하는 등 호평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전기차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Jong-e'는 친환경 소재인 '종이'라는 테마로 레드 닷 어워드 UX 부문에서 현대차 최초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아이오닉 5'에 처음 적용된 Jong-e UX 디자인은 녹색과 파란색의 그라데이션 컬러, 아이오닉 5 내외장 디자인에 사용된 파라메트릭 픽셀 요소가 가미된 디자인 등으로 전기차의 친환경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동시에 구현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필름&애니메이션(Film&Animation)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Interface&User Experience) 외에도 △공간 커뮤니케이션(Spatial Communication) △애플리케이션(Apps) △광고(Advertising) △온라인(Online) △디지털 솔루션(Digital Solutions) 등 7개 디자인 부문에서 15개의 본상(Winner)을 받으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필름&애니메이션' 부문에서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세상을 움직이는 힘과 책임을 담아낸 △'아임 인 차지(I'm in charge)' 브랜드 캠페인 영상이, 코로나19라는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희망과 연대를 그려낸 △'디스 이즈 어스(This is Us)' 캠페인 영상이 본상(Winner)을 받았다.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 디자인' 부문에서는 △현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적용된 '아쿠아 테마 디자인(Hyundai Infotainment System : Aqua Theme Design)' △스마트 TV 플랫폼 '채널 현대(Channel Hyundai)'가, '애플리케이션'(Apps) 부문에서는 △현대 커넥티드 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블루링크' △'채널 현대'와 제네시스 고객의 스마트한 차량관리를 위한 개인화 모바일 서비스 앱인 △'마이 제네시스(MY GENESIS)'가 본상(Winner)을 받았다.

특히 현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아쿠아 테마 디자인 △채널 현대 △블루링크는 올해 초 2021 iF디자인상에 이어 두 번째 글로벌 디자인상을 받았으며, 현대차의 스마트 TV 플랫폼 채널 현대는 이번 레드 닷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상에서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 디자인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디지털 솔루션 등 4개 부문에서 본상을 받는 기록을 세웠다.

'공간 디자인' 부문에서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 △천안 글로벌 러닝센터 △현대차그룹 영남권 연수원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 등 네 곳이 본상(Winner)을 받으며, 공간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부여하고자 한 노력이 인정받았다.

'광고' 부문에서는 지난해 아이오닉 브랜드 캠페인 중 하나로 세계적 관광명소인 런던아이에서 진행된 △'런던아이' 아이오닉 브랜드 론칭 캠페인, 지속 가능한 에너지인 수소의 무한한 가치를 알리기 위한 글로벌 수소커뮤니티 구축 프로젝트 △'H2U (Hydrogen to you)' 캠페인이 본상을 받았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독특하고 더욱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번 레드 닷 어워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수상으로 인정받았다며, 앞으로 고객과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서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 조합원 대상 관리감독자 교육 및 산재예방 사업주 교육 실시

[TV서울=신민수 기자] 서울시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이사장 김광규)은 지난 6월 25일, 교통회관 1층 중강당에서 조합원을 대상으로 관리감독자 교육 및 산재예방 요율제 사업주 교육을 실시했다.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위험성 평가 제도와 법령, 정비업 산업재해 예방 활동’ 등의 내용으로 진행된 이번 교육에 김광규 이사장을 비롯해 조합원 180여 명, 조합원 업체 소속 직원 100여 명이 참석하여 조합에서 시행하는 안전보건 교육에 많은 관심과 함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먼저 오전 관리감독자 교육 시간에는 강민수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 차장이 ▲위험성평가 사업주 교육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사업주 교육 등을 진행했다. 오후 산재예방 사업주 교육 시간에는 김형석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 지사장이 ▲사업주의 책임, 경영과 안전보건활동 (자동차정비업 사례관리중심)을, 전정연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 과장이 ▲위험성평가 및 산재예방요율제 계획서 작성실습을 각각 진행했다. 김광규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많은 조합원님들께서 교육에 참석해 주심에 감사 드린다”며 “오늘 교육이 조합원님 사업장의 안전관리에 있어서 유익하고도 뜻깊은 좋은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자동차 정






정치

더보기
김문수 "국민의힘, 개선 하루이틀에 안돼…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적합" [TV서울=이천용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전 대선 후보가 4일 국회를 방문,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만난 뒤 나와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지난 대선 국민의힘 후보로 나섰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4일 당 혁신위원장으로 안철수 의원이 내정된 것에 대해 "아주 잘 하실거라 보고 있고 적합한 혁신위원장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국회를 찾아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만난 뒤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 "민주당과 대비해서 많은 차이가 있다"며 "하루 이틀에 되는 건 아니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당 지지율이 저조하다는 지적에는 "국태민안을 먼저 생각해야지 여론에 지나치게 일희일비하는 건 올바른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당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선 "전대 날짜가 안 정해졌다"며 "전대에 '나간다, 안 나간다' 이런 건 아직 전혀 말할 위치가 아니다"고 말했다. '경북지사 출마 얘기도 있다'고 하자 "전혀(아니다)"라며 "방금 대선 떨어진 사람한테 경북지사를 나가라 그런 얘기가 왜 나왔는지 이해가 안 된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