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BTS 부산 무료콘서트 비용 '70억+α'…"협찬 등으로 충당 노력"

  • 등록 2022.09.08 14:10:25

 

[TV서울=신예은 기자]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다음 달 15일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여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콘서트 '옛 투 컴 인 부산'(Yet To Come in BUSAN)이 무료로 추진되면서 막대한 개최 비용이 어떻게 충당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8일 소속사 하이브에 따르면 무료로 진행되는 대면 콘서트 외에도 부산항 라이브 플레이와 전 세계에 생중계되는 온라인 스트리밍도 함께 진행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어떻게 댈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 섞인 시선이 나오기도 했다.

 

이를 두고 하이브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부산시와 경제계, 하이브와 방탄소년단 모두 한마음으로 노력 중인 상황에서 이러한 논쟁이 발생한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이브에 따르면 이번 공연은 대면 공연 운영에만 약 70억원이 들 전망이다.

공연장인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5만여명이 수용 가능한 대규모 시설인데다가 방탄소년단이 지닌 월드스타 위상에 걸맞은 무대·장비가 설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하이브는 "대면 공연 외에도 전 세계에 무료로 온라인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데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며 "이에 콘서트와 연계돼 지출되는 총비용은 언론에 밝혀진 내용(70억원)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또한 이 '70억원+α' 비용과 관련해서는 "기업 스폰서 협찬, 온라인 스트리밍 광고, '더 시티 프로젝트'(콘서트 전후로 도시 곳곳에서 다양한 즐길 거리와 이벤트를 제공하는 하이브의 도시형 콘서트 플레이 파크) 부대사업 등으로 충당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이브는 그러나 "아직 실제 콘서트 개최와 무료 스트리밍을 위한 비용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전체 소요 비용 가운데 어느 정도가 현재까지 기획한 내용으로 충당될 수 있을지도 확정되지 않았다"고 섣부른 추측을 경계했다.

 

 

하이브는 그러면서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부터 하이브 입장에서는 적자 폭을 줄이는 것이 선방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준비 중"이라며 "앞으로 콘서트 당일까지 여러 노력을 통해 적자 폭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시 역시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소속사가 큰 폭의 적자를 떠안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하이브는 전했다.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