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한국은 배우 출연료 억 단위로 뛰는데…일본 10년 답보 배경은

  • 등록 2025.01.26 10:17:56

 

[TV서울=신민수 기자] "한 번 뜨면 수천만 원도 아니고 억(億) 단위씩 출연료를 올려달라고 하니 제작비가 폭등할 수밖에 없죠."

국내 방송사와 드라마 제작사들 사이에서 이러한 푸념이 나온 것은 더 이상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의 공세 속에 급등한 스타 배우들 출연료로 국내 드라마 제작 환경은 날로 열악해지고 있다. 제작 편수가 줄어드는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옆 나라 일본 지상파 방송사는 1년에 드라마 약 100편을 신규 제작해 편성하고 있고, 배우들의 출연료도 10년간 거의 비슷한 상태로 제작비의 20~30%를 넘지 않는다.

 

26일 '방송문화'에 기고된 '일본 TV드라마 제작비 현황'에서 조장은 KDDI(일본 이동통신사업자) 종합연구소 특별연구원은 이 원인을 내수 시장 구조의 유지와 작품 기여도에 따른 출연료 지급 관습에서 찾았다.

광고회사 하쿠호도에 따르면 일본인의 TV 시청 방식은 1위 실시간 시청 71.4%, TV 녹화 50.9%, 무료 다시보기 35.9%, 유료 OTT 2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거의 이용자를 찾아볼 수 없는 지상파의 TV 녹화 이용률이 50% 이상일 정도로 독특한 시청 환경을 유지 중이다.

이러한 탓에 일본에서는 지상파 드라마와 OTT 드라마를 다른 장르로 인식한다. TV 드라마는 수출보다 내수 시장을 타깃으로 하며 10년 전 방식 그대로 만들어진다.

넷플릭스 일본 오리지널 시리즈는 회당 1억엔(한화 약 9억3천만원)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되나 지상파 드라마는 3분의 1도 안 된다.

 

특히 지상파 드라마의 배우 총출연료는 제작비의 20% 정도가 일반적이고 많아도 30%를 넘지 않는 수준으로 결정된다.

주연급은 인기 있는 스타라고 해도 회당 300만엔(약 2천800만원) 전후이며, 조연들의 경우 출연료보다 다작으로 인지도를 올려 주연급을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 연구원은 "특히 공영방송의 경우 배우 인지도보다 그동안 얼마나 방송사에 공헌했는지, 프로그램에 많이 출연했는지, 시청률이 높았는지를 차등해 책정한다"고 전했다.

일본 역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주인공은 회당 1천만엔(약 9천300만원) 이상 받기도 하나, 10억원도 넘어선 한국과 비교하면 그리 많다고 볼 수도 없다. 또한 글로벌 OTT 오리지널 시리즈는 제작 편수가 적고 촬영 시간은 길어 TV 드라마에 자주 출연해 광고 수입을 얻는 게 더 이득이라고 보는 배우들도 있다.

조 연구원은 물론 일본에서도 한국 드라마 시장이 글로벌 OTT와 시너지를 내면서 변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한국을 반면교사 삼아 급격하게 제작비와 출연료를 올리기보다는 TV 드라마만의 매력을 살리며 경쟁력도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립서울현충원, 제5회 나라사랑 보드게임 대회 개최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립서울현충원(원장 권대일)은 광복절 80주년을 기념해 ‘2025년 제5회 나라사랑 보드게임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1년 처음 시작해 매년 8월에 개최하고 있는 ‘나라사랑 보드게임 대회’는 보드게임이라는 친숙한 형식을 통해 청소년들이 나라사랑 정신과 독립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자연스럽게 배우는 기회를 제공해왔다. 이번 대회의 참가 대상은 초등부(4~6학년), 중등부(1~3학년)로 학생 2인이 1팀을 구성하여 보호자 동의하에 신청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독립유공자의 활동에 관한 퀴즈를 풀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는 과정을 게임 형식으로 수행한다. 대회는 총 3단계로 진행된다. 예선(8월 5일)과 본선(8월 9일)은 온라인으로, 결선(8월 23일)은 대면 방식으로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전시관에서 개최된다. 시상은 초등부와 중등부로 나뉘어 각각 최우수 1팀, 우수 1팀, 장려 2팀을 선정한다. 각 수상자에게는 국립서울현충원장상과 상금이 수여된다. 권대일 현충원장은 “이번 대회는 독립운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뜻을 마음에 새길 수 있도록 기획한 자리”라며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나라사랑 정신을 함양하고 독립유공자의 숭고한 삶과 정신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