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


'경기형 과학고' 설립에 상반된 반응…"특성화교육"vs"특권교육"

  • 등록 2025.03.08 09:21:09

 

[TV서울=이현숙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하는 '경기형 과학고' 신규 지정에 교육부가 동의함에 따라 경기지역에 과학고 4곳이 추가 설립되는 가운데 교육계 안팎에서는 상반된 반응이 나오고 있다.

8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경기지부를 비롯한 70여개 교육·시민단체가 모인 특권교육저지경기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6일 경기도교육청 광교청사 앞에서 교육부의 경기형 과학고 승인 철회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이들은 "특권교육 부활, 입시경쟁 심화, 교육 불평등 확대를 조장하는 경기형 과학고 설립을 규탄한다"며 "설립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모든 학생을 위한 평등한 교육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과학고가 새로 들어서는 지역의 일부 교육단체도 비슷한 목소리를 냈다.

 

이태근 전교조 성남지회장은 "성남지역 과학고 설립 및 운영으로 지역교육 재정의 부담이 우려된다"고 했고, 이나현 전교조 시흥지회장은 "극소수 학생을 위해 시민의 혈세는 낭비되고 일반고는 황폐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과학고를 유치한 지자체들은 반색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교육부가 경기형 과학고 신규 지정을 승인하자 조용익 부천시장은 "부천 과학고를 통해 미래를 이끄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키우고 부천을 첨단과학 교육도시로 만들겠다"고 했고, 신상진 성남시장은 "과학고 유치로 성남이 과학 교육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반겼다.

김경희 이천시장은 "시민 과학교실과 같은 지역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 학생들이 과학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흥이 글로벌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산실로 도약하는 계기가 된 만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과학고는 1단계 예비 지정, 2단계 특목고 지정·운영위원회 심의, 3단계 교육부 장관 동의를 거쳐 교육감 지정·고시로 설립되는데, 교육부 장관 동의까지 이뤄져 사실상 설립이 결정된 상황이다.

 

부천과 성남에서는 기존 일반고의 과학고 전환이 이뤄지며, 시흥과 이천에서는 과학고가 새로 들어선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기존의 과학고와는 다른 특성화된 과학교육 시스템을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며 "지자체, 지역사회, 관련 기업 등과 긴밀한 협력하에 학생들이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를 기록하는 책방, 북살롱 이마고/ 제주아카이브센터

[TV서울=박지유 제주본부장]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리에는 의외의 장소에서 맞이해 주는 책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북살롱 이마고입니다. 그런데 이곳은 또 단순한 책방이 아니었습니다. 한국의 대중 인문서 시장을 연 출판사 이마고이자 '제주아카이브센터'라는 또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지요. 과연 제주의 무엇을 아카이빙 한다는 걸까요? 브릭스 매거진에서 북살롱 이마고/제주아카이브센터의 김채수 대표를 만나 북살롱 이마고가 어떤 서점인지, 제주아카이브센터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들어보았습니다. 인문·예술 책방을 넘어 제주의 삶을 기록하는 북살롱 이마고 / 제주아카이브센터로의 산책, 함께 떠나 보시죠. 북살롱 이마고/제주아카이브센터 Q. 북살롱 이마고는 어떤 곳인가요? 북살롱 이마고는 책방이지만 제주의 지역문화를 발굴하여 기록하고 전시하는 비영리단체 제주아카이브센터이기도 합니다. 처음 시작은 인문서와 예술서 위주로 큐레이션 하는 인문‧예술 책방이었는데, 제2공항 이슈로 인해 돌집을 비롯한 지역의 소중한 자산들이 급격히 사라져가는 것을 보니 마음이 너무 급해지더라고요. 어서 빨리 사진이든 글이든 이 지역의 모습들을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에 지역 분들을 모아 기록 프로젝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