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1.7℃
  • 맑음강릉 15.7℃
  • 구름조금서울 13.4℃
  • 맑음대전 12.0℃
  • 맑음대구 15.1℃
  • 맑음울산 13.5℃
  • 연무광주 14.4℃
  • 맑음부산 15.8℃
  • 맑음고창 12.9℃
  • 맑음제주 16.5℃
  • 맑음강화 9.0℃
  • 맑음보은 10.6℃
  • 맑음금산 11.7℃
  • 맑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1.6℃
  • 맑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피, 美 셧다운 종료에 4,170선… 바이오주 급등

  • 등록 2025.11.13 17:16:01

 

[TV서울=신민수 기자] 코스피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인해 1시간 늦게 개장한 13일 하락 출발했으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종료로 투자심리가 살아나며 상승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9천억 원 가량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그간 상대적으로 상승세가 약했던 바이오주 등이 약진했다.

 

코스피는 이날 전장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출발해 오전장에서는 보합권을 오르내리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오후 들어 반등 후 상승세를 빠르게 키워나가 한때 4,188.54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환율 2.0원 오른 1,467.7원을 나타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8,983억 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2,310억 원, 6,218억 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1,658억 원 매도 우위였다.

 

미 연방하원은 12일(현지시간) 오후 본회의를 열고 상원에서 넘어온 단기 지출법안(임시예산안) 수정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222표, 반대 209표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역대 최장기로 기록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43일 만에 종료됐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가 하락한 여파로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0.29% 떨어진 10만2,800원, SK하이닉스는 0.81% 하락한 61만2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그러나 셧다운 종료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상대적 소외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살아났다.

 

바이오 대장주인 셀트리온[068270](6.67%)을 비롯해 두산에너빌리티[034020](5.99%), HD현대중공업[329180](5.97%), 한화오션[042660](3.16%) 등이 큰 폭 상승했다.

 

대신증권[003540] 이경민 연구원은 "미 셧다운 위험 해소와 함께 불확실성이 완화돼 가치주의 순환매가 전개됐다"며 "특히 (반도체주) 쏠림 완화와 소외주·내수주의 순환매가 이어지며 제약·바이오와 화학, 음식료, 엔터, 원전, 조선 업종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3.94%), 금속(2.73%) 전기·가스(2.55%), 건설(2.54%) 등을 올랐고, 전기·전자(-0.07%), 보험(-1.04%), 운송·창고(-0.59%) 등은 내렸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86포인트(1.31%) 상승한 918.37에 거래를 끝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2.15포인트(0.24%) 내린 904.36으로 시작했으나 장 초반 반등해 강세를 이어갔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633억원, 614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744억 원을 순매도했다.

 

알테오젠[196170](0.37%), 에코프로비엠[247540](3.03%), 에코프로[086520](1.18%),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1.90%) 등 시가총액 상위종목 상당수가 상승했다.

 

특히 에이비엘바이오[298380](29.04%)는 장 중 한때 가격 제한선(29.99%)까지 상승한 16만4천7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고, 펩트론[087010]은 5.78% 오르는 등 제약·바이오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7조3천610억원, 9조5,908억 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메인마켓의 거래대금은 6조3,688억 원이다. 프리마켓은 수능으로 미운영됐다.


특검, "추경호, '국회 이동하자' 한동훈 요구 거부… 군경 폭동 방관"

[TV서울=나재희 기자]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가 비상계엄 해제를 위해 국회로 이동하자는 한동훈 전 대표의 요구를 거부하고, 군과 경찰의 폭동을 보고도 국회 원내대표실에 머무르며 방관한 것으로 판단했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해 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국회 보고를 위한 체포동의안에 이러한 내용을 포함했다. 체포동의안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는 작년 12월 3일 밤 11시 22분경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에 협조해달라는 취지의 전화를 받았다. 이후 한 전 대표가 '계엄을 막기 위해 신속히 국회로 가야 한다'고 요구하자 '중진 의원들이 당사로 올 테니 그들의 의견을 들어보자'며 거부하고 소속 의원들에게 전달하지도 않았다고 특검팀은 판단했다. 또 한 전 대표는 '원내대표 명의로 계엄에 대한 반대 입장을 명확히 내달라'고도 요청했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당 대표가 입장을 냈으니 굳이 원내대표가 따로 입장을 낼 필요가 없다"며 아무런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하는

서울병무청, “산업기능요원으로 출발해 전문가로 성장”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지방병무청은 산업기능요원으로 병역의무를 이행하면서 실무 경력을 쌓아 전문가로 성장해 가고 있는 모범사례를 소개했다. 주인공은 한빛디엔에스(주)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하고 있는 곽민창(25세) 대리이다. 서울시 강서구에 소재한 한빛디엔에스(주)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엔지니어링 회사로 2001년 설립 후 설계, 시공, 감리 등 사업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2022년에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됐다. 곽민창 대리는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유망직종으로 추천한 마이스터고 선생님의 권유로 한빛디엔에스(주)에 입사했다. 일반 사원으로 근무하던 중 회사가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되어 신재생에너지 분야 경력을 유지하고 개인 역량을 꾸준히 펼치고자 산업기능요원에 지원했다고 한다. 태양광 발전 관련 기술 지원 및 분석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곽민창 대리는 입사 초기 팀장님과 선임 팀원들의 업무 노하우를 전수받아 보조업무를 성실히 수행해온 결과 지금은 프로젝트 하나를 혼자서 다룰 수 있을 만큼 성장해 업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곽민창 대리는 “하나의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준공계를 거래업체에 메일로 보낼 때 뿌듯함을 느낀다”며






정치

더보기
尹 내란재판 '싹 잡아들여' 홍장원 증언…헌재 이어 법정대면 [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사건 재판에 13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증인으로 출석한다.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의 법정 대면은 이번이 세 번째다. 두 사람은 윤 전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 과정에서 두 차례 대면한 바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 혐의 사건의 속행 공판을 열고 홍 전 차장을 증인으로 부른다. 홍 전 차장은 지난 2월 헌재 탄핵심판 변론에 두 차례 증인으로 출석해 비상계엄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전화해 "싹 다 잡아들여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며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주요 정치인·법조인 체포 명단을 받아적었다고도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이 받아적은 이른바 '홍장원 메모'의 신빙성을 두고 헌재에서 공방이 이뤄지기도 했다. 당시 윤 전 대통령 측은 홍 전 차장 진술이 '탄핵 공작'이라고 주장했지만, 헌재는 지난 4월 파면 선고를 내리며 홍 전 차장 증언을 인정했다. 지난 헌법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