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서울시의회, "재정분권이 이루어지는 지방분권형 헌법개정 필요"

  • 등록 2018.02.28 16:38:28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울시의회2014~2018년 서울시 자치구 재정분석보고서에서 서울시 25개 자치구 재정지표를 분석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14~2018년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재정규모, 재정운용, 재정건전성, 재정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현황, 재정현황, 재정지표 등을 분석. 

 

<자치구 재정분석 항목>

1. 일반현황

 

인구, 세대, 면적, 법정동, 행정동, 공무원수

2. 재정현황

총재정규모, 세입예산 ,세출예산

3. 재정지표

재정규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주민1인당세출예산액, 주민1인당자체수입액, 주민1인당세외수입액, 주민1인당지방세부담액

재정운용

사회복지비중, 행정운영경비비중, 의회비비중, 자체수입대인건비비율, 정책사업비중, 자체사업비중, 보조사업비중, 예비비확보율

재정건전성

예산대비채무비율, 보증채무비율, 채권, 지자체부채비율, 지방공기업부채비율, 민자사업재정부담액

재정효율성

지방세징수율, 지방세체납액관리비율, 세외수입체납액관리비율, 지방보조금비율, 출자출연금비율, 민간위탁금비율

지표 구성 : 재정규모와 재정운용은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지방재정365)의 지방자치단체 재정지표, 재정건전성은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의 통합공시 지표 중 선별, 재정효율성은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지표 중 선별

 

2018년 서울시 자치구 평균 재정규모는 5,58545백만원으로 2014년 대비 42.1% 증가한 반면, 평균 재정자립도가 2014년 대비 2.9% 하락하고 최고최저 자치구의 격차가 3.2배로 나타났다.

자치구 평균 재정규모는 20143,93133백만원20185,58545백만원으로 42.1% 증가하였고, 2018년 현재 강남구가 8,11993백만원으로 최고, 종로구가 3,84198백만원으로 최저.

자치구 평균 재정자립도는 201439.2%201836.3%으로 2.9%포인트 하락하였고 2018년 현재 강남구가 67.9%로 최고, 노원구가 21.1%로 최저로 자치구간 격차(3.2)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남.


2018년 자치구 평균 사회복지비비중은 48.07%2014년 대비 2.74% 증가, 보조사업비중은 51.6%2014년 대비 2.8% 증가하여 자치구의 재정운용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평균 사회복지비중은 201445.33%201848.07%2.74% 증가하였고, 2018년 현재 노원구가 60.17%로 최고, 중구가 28.4%로 최저.

자치구 평균 행정운영경비비중은 201426.5%201823.12%3.38% 감소하였고, 2018년 현재 종로구가 30.12%로 최고, 노원구가 18.17%로 최저.

자치구 평균 자체사업비중은 201420.9%201824.4%3.5% 증가하였고, 2018년 현재 서초구가 39.1%로 최고, 노원구가 17.2%로 최저.

자치구 평균 보조사업비중은 201448.8%201851.6%2.8% 증가하였고, 2018년 현재 노원구가 64.5%로 최고, 서초구가 36.6%로 최저.

2016년 자치구 평균 지자체부채비율은 1.34%, 평균 지방공기업부채비율은 152.23%, 지자체부채비율은 2014년 대비 0.01% 감소, 지방공기업부채비율은 63.11% 감소하여 재정건전성 지표가 일부 개선됐다.


자치구 평균 지자체부채비율은 20141.35%20161.34%0.01%
감소했고, 2016년 현재 동작구가 2.85%로 최고, 송파구가 0.53%로 최저.

자치구 평균 지방공기업부채비율은 2014215.34%2016152.23%63.11% 감소하였고, 2016년 현재 성북구가 365.06%로 최고, 금천구가 29.68%로 최저.

2016년 자치구 평균 지방세징수율은 98.22%, 평균 지방세체납액관리비율과 세외수입체납액관리비율은 각각 1.08%5.96%이고, 지방세징수율은 2014년 대비 0.31% 증가, 지방세체납액관리비율과 세외수입체납액관리비율은 각각 0.21%, 1.7% 감소하여 재정효율성 지표가 다소 개선되었다.

자치구 평균 지방세징수율은 201497.91%201698.22%0.31%포인트 증가하였고, 2016년 현재 송파구가 99.1%로 최고, 용산구가 92.92%로 최저.

자치구 평균 지방세체납액관리비율은 20141.29%20161.08%0.21%포인트 감소하였고, 2016년 현재 용산구가 9.13%로 최고, 강북구가 0.18%로 최저.

자치구 평균 세외수입체납액관리비율은 20147.66%20165.96%1.7%포인트 감소하였고, 2016년 현재 중구가 12.53%로 최고, 도봉구가 2.66%로 최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5년간 재정지표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구일수록 사회복지비중과 보조사업비중이 높고, 재정자립도가 높은 자치구일수록 자체사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정자립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지방재정분권이 요청되는 것으로 다시한번 확인되었다.

재정자립도와 자체사업비중은 0.8 이상의 정(+)의 상관관계(0.825),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비중(-0.879), 재정자립도와 보조사업비중(-0.876)0.8 이상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냄.

이는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구일수록 사회복지비중과 보조사업비중이 높고, 재정자립도가 높은 자치구일수록 자체사업비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에 서울시의회 양준욱 의장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재정규모는 증가하나 재정자립도가 낮아지고 있고, 국고보조사업의 증가에 따른 사회복지사업비중의 증가로 인해 자치구의 재정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현실이 명확히 확인된 바, 재정분권이 이루어지는 지방분권형 헌법개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중앙정부와 국회에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수도권 집중공략…"제가 밉더라도 내란세력 결코 안돼"

[TV서울=이천용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대선을 열흘 앞둔 24일 경기 남부권을 방문해 '내란 심판론'을 앞세워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표심을 집중 공략했다. 이 후보는 이날 경기 부천을 시작으로 안양·시흥·안산 등을 차례로 돌며 유세했다. 이 후보는 부천·안양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해 "주인인 국민이 맡긴 총칼로 우리를 겁박하고, 영구적 군정을 통해 집권하려고 한 국민 배반·국가 반란 행위를 결코 용서해서는 안 된다"며 "그런데 희한하게 지금 길거리를 활보하며 부정선거 영화를 보고 희희낙락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자기가 이기나. 부정선거 했으면 (지난 대선에서 내가) 화끈하게 7%포인트(p)로 이기지, 왜 0.7%p로 지게 만들어서 3년간 온 국민을 고생시키는가"라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내란 수괴와 단절에 대해 끝까지 대답 안 했으니 해석은 국민 몫"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은 내란 세력의 책임을 묻고 그들의 귀환을 막을 것인지, 아니면 귀환을 허용해 영원히 후진국으로 전락할 것인지 결정되는 역사적 이벤트"라며 "누구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다음 문제다. 이 나라가 제자리를 찾






정치

더보기
이재명, 수도권 집중공략…"제가 밉더라도 내란세력 결코 안돼" [TV서울=이천용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대선을 열흘 앞둔 24일 경기 남부권을 방문해 '내란 심판론'을 앞세워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표심을 집중 공략했다. 이 후보는 이날 경기 부천을 시작으로 안양·시흥·안산 등을 차례로 돌며 유세했다. 이 후보는 부천·안양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해 "주인인 국민이 맡긴 총칼로 우리를 겁박하고, 영구적 군정을 통해 집권하려고 한 국민 배반·국가 반란 행위를 결코 용서해서는 안 된다"며 "그런데 희한하게 지금 길거리를 활보하며 부정선거 영화를 보고 희희낙락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자기가 이기나. 부정선거 했으면 (지난 대선에서 내가) 화끈하게 7%포인트(p)로 이기지, 왜 0.7%p로 지게 만들어서 3년간 온 국민을 고생시키는가"라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내란 수괴와 단절에 대해 끝까지 대답 안 했으니 해석은 국민 몫"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은 내란 세력의 책임을 묻고 그들의 귀환을 막을 것인지, 아니면 귀환을 허용해 영원히 후진국으로 전락할 것인지 결정되는 역사적 이벤트"라며 "누구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다음 문제다. 이 나라가 제자리를 찾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