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6일 오후4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지속가능한 학교·공공급식과 도농상생 정책 실현을 위한 서울시-농림축산식품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는 서울시가 고추장, 된장, 식용유 등 가공식품을 초‧중학교 학교급식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으로, 현재는 대부분의 가공식품의 경우 각 학교별로 구입하는 방식이어서 별도의 검품단계가 없는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콩과 유채 등 쌀 대체작물이 안정적으로 납품될 수 있도록 적정 물량을 확보하고, 서울시는 생산조정제로 생산된 가공식품을 서울시 공공급식센터와 산지 친환경농산물 급식센터를 연계하는 시스템이다
서울시와 농식품부는 지역 단위 식품정책 구축과 유기농 특성화 거리 조성 등을 통해 농식품의 직거래를 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업무협약을 구체적으로 추진해나가기 위해 민관 거버넌스로 구성된 협치형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세부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부터 ‘쌀 생산조정제’를 새롭게 시행 중인 가운데, 이를 통해 확대 재배되는 국내산 콩과 유채 등의 작물이 아이들의 학교 급식재료로 공급되도록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쌀 생산조정제’는 논에 벼(쌀) 대신 콩이나 유채 같은 대체작물을 심는 농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과잉 생산되는 쌀 생산량을 조절하고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콩과 유채 등 작물 재배를 늘려 궁극적으로는 식량자급률 향상을 목표로 한다.
시는 우선 올해 10억을 투입, 6개 자치구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오는 2020년까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하고 향후 어린이집과 복지시설 등 공공급식으로도 확대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