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가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116개 생활권으로세분화해 도시관리를 해 나갈 계획인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발표한다.
8일 공고하고 본격 가동할 본 계획은 주거, 산업‧일자리, 교통, 복지, 교육과 같이 서울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슈들에 대한 발전구상을 생활권별로 담아내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4년여 간 도시계획 전문가들과 주민 워크숍, 설명회 등 폭넓은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지난해 12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
플랜에는 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으로 나뉘는 5개 권역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로 제시했다.
5개 권역과 116개 지역생활권
도시공간은 권역‧지역의 기능과 역할 강화를 통한 지역 자족성 강화 방안을 담아 예컨대 상암‧수색의 서북권은 수색복합역사와 경의선 상부부지를 활용해 영상‧미디어‧R&D 기능을 확충해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하고, 동북권 청량리역은 복합환승역사를 통해 교통‧상업 중심지로서 기능을 강화한다.
산업‧일자리는 특성화된 산업을 발굴‧육성해 고용과 경제기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담았다. 예컨대, 가산G밸리(서남권)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중심거점으로 육성한다. 신촌 일대(서북권)는 대학과 연계해 청년창업 거점으로, 상일동 일대(동남권)는 첨단 업무단지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주거정비는 주거지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보전‧관리방안을 담았다. 예컨대, 상계‧월계(동북권)는 노후화된 택지개발지구의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구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으로 체계적 정비에 나선다. 불광동‧홍은동‧성산동 등 일대(서북권)는 1인가구, 어르신 등 맞춤형 공유주택 도입을 유도한다.
교통은 각 생활권별로 보행환경 개선과 보행공간 확보, 자전거도로 및 이용시설 확충, 주요 간선도로 확충 계획을 담았다.
환경‧안전은 자연환경 보전, 공원‧녹지 확대, 방재대책 방안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동북권의 경우 아차산~용마산~망우산을 연결하는 서울둘레길을 정비하고 한강~중랑천~청계천으로 이어지는 수변축을 연결해 ‘산-하천 녹색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역사‧문화‧관광은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방안과 관광 활성화 방안을 담았다. 에컨대, 도심권은 한양역사도심을 활용해 도보관광을 활성화하고 동남권은 풍납토성~암사동 유적~아차산성을 연계한 역사문화 탐방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복지‧교육은각 지역별로 필요한 복지‧교육시설에 대한 공급 방안을 담았다. 1~2인 가구 비율이 높은 혜화동‧장충동(도심권)의 경우 문화‧체육시설을 확충한다.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동북권과 서남권에 배분된 신규 상업지역은 지역별로 배분된 물량 범위 내에서 자치구가 개발계획과 연계한 세부계획을 수립해 시에 요청하면 중심지 육성방향, 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고려하여 지정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http://urban.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중에는 위치기반의 ‘생활권계획 홈페이지’를 오픈할 예정이며, 시민 누구나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