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국립중앙도서관, 연암 박지원 손자 박선수 자료 1,208점 '온재문고' 설치

박선수의 고손 박원서 씨가 기증
'설문해자익징' 교정본·과거 답안지 등 포함

  • 등록 2021.06.24 14:36:24

 

[TV서울=신예은 기자] 국립중앙도서관은 24일 “오는 28일 박선수의 고손이자 국립암센터 의사인 박원서 씨가 기증한 자료 1,208점으로 구성된 개인 문고 '온재문고'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도서관은 24일, “오는 28일 국립암센터 의사인 박원서 씨가 기증한 조선 후기의 저명한 학자인 연암 박지원 손자이자 개화사상가 박규수의 동생인 온재(溫齋) 박선수(1821∼1899)가 남긴 자료 1,208점으로 구성된 개인 문고 ‘온재문고’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박선수의 고손인 박원서 씨가 기증한 자료는 박선수가 소장한 문집과 중국 서적 등 고서 160책과 고문서 1천33점, 책에 찍는 도장인 장서인(藏書印)·호패·추사 김정희가 만든 대나무 자 등 유물 15점으로 구성됐다.

 

고문서 중에는 박선수가 1864년 문과에 장원 급제할 때 작성한 답안지, 1861년부터 1894년까지 관직 생활을 하며 받은 임명장, 형 박규수와 주고받은 편지 등도 있다.

 

 

또, 박선수가 한자 연구서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기록한 교정본과 박규수가 김정희·김영작 등 지인에게 빌려준 책의 목록을 적은 '둔필잡지'(鈍筆雜識)도 기증 자료에 포함됐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설문해자익징 교정본에 대해 "불필요한 내용은 지우고, 틀리거나 추가할 대목에는 글자를 쓴 한지를 오려 붙이기도 했다"며 "현존하는 5책을 살펴보면 거의 모든 쪽에 교정 흔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증 자료 중에는 사대부의 한글 편지 등 희귀하고 중요한 고문서가 다수 있다"며 "다음 달부터 본관 5층 고문헌실에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원서 씨는 "애서가였던 선조가 남긴 자료를 많은 사람이 연구할 수 있도록 국가 도서관에 기증해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설문해자익징' 교정본 - 국립중앙도서관 제공/연합뉴스

 

박선수가 1864년 작성한 과거 답안지 - 국립중앙도서관 제공/연합뉴스

추사 김정희가 만든 대나무 자 - 국립중앙도서관 제공/연합뉴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