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23일 오전 중구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전국 6대 지하철노조 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정부와 서울시가 노조의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9월 14일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구조조정 철회 ▲공익서비스 비용 국비 보전 ▲청년 신규채용 이행 등 핵심 요구를 내걸고 9월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이번 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2016년 성과연봉제 반대 총파업 이후 5년 만의 파업이며, 다른 지역 지하철노조와의 연대 파업 여부는 각 노조의 내부 논의를 거쳐 9월 초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파업에 앞서 정부·서울시와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노조 “열차를 멈추기에 앞서 잘못된 정책을 멈추게 하는 것이 투쟁의 이유이자 목적이다. 지하철 파업은 시민 불편뿐 아니라, 혼잡도 가중으로 방역 불안에 대한 우려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신중하게 고려할 것”이라며 “끝내 노조의 요구를 묵살하고 대화조차 거부한다면 전면 파업도 불사할 것”이라고 했다.
노조는 오는 26일 전국 지하철노조와 함께 주요 역사에서 ‘지하철 재정위기 해결,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하는 동시다발 1인 시위를 진행한다. 또, 9월 초에는 국회와 서울시청 일대에서 노조 요구를 알리는 릴레이 시위와 기자회견, 도보 행진 캠페인 등을 벌이기로 했다.
한편, 노조는 지난 16일부터 20일 정오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 인원 대비 약 81.6%의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의 핵심 요구는 고질적인 재정난의 원인이 노약자 무임수송에 있다며 코레일(한국철도)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손실금을 보전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또, 서울시와 공사는 적자 폭이 확대됨에 따라, 전체인력의 10% 감축과 임금 동결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노동자에게 피해를 전가하는 일방적인 자구책”이라고 수용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