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블랙핑크, 내일 정규 2집 발표…"지금까지 경험한 적 없는 음악"

  • 등록 2022.09.15 14:31:19

 

[TV서울=신예은 기자]  'K팝 걸그룹 끝판왕' 블랙핑크가 16일 오후 1시 정규 2집 '본 핑크'(BORN PINK)를 발매한다.

15일 블랙핑크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가 공개한 일문일답에서 멤버 로제는 "이번 앨범은 '본 핑크'라는 타이틀처럼 블랙핑크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했다"며 "기발한 상상력으로 지금껏 경험한 적 없는 음악을 만들어냈다고 자부한다"고 소개했다.

 

'본 핑크'에는 타이틀곡 '셧 다운'(Shut Down)을 비롯해 먼저 공개됐던 '핑크 베놈'(Pink Venom), '타이파 걸'(Typa Girl), '예예예'(Yeah Yeah Yeah), '하드 투 러브'(Hard to Love), '더 해피스트 걸'(The Happiest Girl), '탈리'(Tally), '레디 포 러브'(Ready For Love) 등 8곡이 수록됐다.

 

타이틀곡 '셧 다운'은 19세기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 니콜로 파가니니가 작곡한 '라캄파넬라'를 샘플링해 트렌디한 힙합 비트를 얹은 곡이다. 블랙핑크의 카리스마를 표현했다.

 

제니는 "우리가 이 곡을 듣고 처음 느꼈던 감정과 짜릿한 전율이 음악을 듣는 모든 분들에게 전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리사는 "이 곡의 도입부를 처음 들었을 때 멤버들 모두 아무 말도 못하고 서로 쳐다만 봤던 거 같다"며 "서로의 눈빛을 통해 '이건 타이틀곡이야'라고 말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블랙핑크는 '본 핑크'를 발표한 후 10월 15∼16일 서울 공연을 시작으로 북미,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순으로 월드 투어를 떠난다.

 

애초 북미 투어는 10월 29일 휴스턴, 11월 2일 애틀랜타, 11월 6일·7일 해밀턴, 11월 10일·11일 시카고, 11월 14일·15일 뉴어크, 11월 19일 LA까지 북미 7개 도시에서 10회 공연을 여는 일정이었다.

 

YG엔터테인먼트는 팬들로부터 추가 공연 요청이 이어져 10월 29일 댈러스, 10월 30일 휴스턴, 11월 3일 애틀랜타에서 추가로 공연한다고 이날 밝혔다.

 

 

리사는 "상상도 못할 새로운 무대들을 준비하고 있으니 직접 오셔서 눈으로 보고 직접 즐겨주셨으면 좋겠다"며 월드 투어를 앞둔 설렘을 드러냈다.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