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9.6℃
  • 흐림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2.4℃
  • 맑음대전 10.3℃
  • 박무대구 8.2℃
  • 구름조금울산 15.1℃
  • 맑음광주 12.0℃
  • 구름조금부산 16.7℃
  • 구름많음고창 10.0℃
  • 구름조금제주 17.3℃
  • 흐림강화 10.2℃
  • 맑음보은 6.3℃
  • 맑음금산 6.5℃
  • 구름조금강진군 9.9℃
  • 구름조금경주시 6.9℃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정치


이재명, “與, 돌려막기 공천·현역불패”

  • 등록 2024.03.05 16:41:31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5일 서울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민주당의 정당한, 투명한, 공정한 공천에 대해서 왜곡되고, 조작되고, 허구의 정보들이 마구 넘쳐날지라도 그 속에서 진실을 꼭 가려봐 주길 바란다"며 "국민의힘은 다 돌려막기 공천하고 현역 불패하고 전부 다 살아남아 있지 않으냐"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날 "민주당의 공천 룰은 이미 1년 전에 만들어져 있었다"며 "국민의힘은 지금 공천 시스템을 만들어놓고, 비대위원장, 원내대표가 100점 만점에 15점씩 자기 맘대로 줄 수 있게 한 것이 이게 무슨 시스템이냐. 맘대로 공천하겠다는 것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이어 "이번 공천 과정에서 저의 가까운 세력을 구축하려 했고, 구축했다 이렇게 헛소문을 퍼뜨린다"며 "지금 사천을 했느니, 무슨 측근 공천했느니 하는데 여러분이 직접 한번 지적해 보시라. 제 측근 중 공천받은 이 누가 있느냐"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경쟁자가 없어 단수(공천)를 받았거나 워낙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차이가 커 어쩔 수 없이 단수한 경우는 있어도 오히려 이재명 측근, 가깝다는 이유로 불이익받고 컷오프(공천 배제)당하고 이런 사람들이 훨씬 많다"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참으로 많은 의원이 탈락의 큰 고통을 겪고 있으나 당원들이나 국민이 볼 때는 새살, 새순이 돋는 것 아닌가"라며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 아픔의 신음 소리를 갖고 마치 부당하게 탄압을 가해 그런 것처럼 조작해서야 되겠느냐"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아울러 "이번 총선에서는 대통령부터 집권 여당, 그리고 중립을 지켜야 할 언론들까지 일부 협잡을 해서 가짜뉴스를 유포하는가 하면 국가 권력을 이용해서 불법 선거운동을 자행하고 있다"며 "3·15 부정 선거와 다를 게 뭐냐"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컷오프된 홍영표 의원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선 "홍 의원도 개인적으로 참으로 안타깝지만 지금까지 오랜 세월 당과 함께 하셨고, 당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때도 있었으니 당으로부터 불이익을 받더라도 미래를 위해, 국민과 나라를 위해 조금 인내해 주십사 이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답했다.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