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종합


"중범죄자는 토론이 두려워"…민주, '트럼프 때리기' 광고

  • 등록 2024.08.03 08:33:10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DNC)가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겨냥한 광고전에 나섰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DNC가 마련한 새로운 광고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의 TV 토론을 피하는 상황을 전면으로 부각했다.

이 광고에는 "유죄 평결을 받은 중범죄자는 토론을 두려워한다"라는 문구가 담겨있다.

이는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결을 '검사 대 중범죄자' 구도로 규정하려는 민주당의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해리스 부통령은 샌프란시스코 지방검사장에 이어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으로 선출된 검사 출신이다.

이에 비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4건의 형사 재판을 받고 있고, 이 가운데 '성 추문 입막음 돈 지급' 사건에서는 지난 5월 유죄 평결을 받았다.

앞서 해리스 부통령은 선거 유세에서 자신의 검사 경력을 부각하면서 "나는 여성을 학대하는 성착취자, 소비자를 등쳐먹는 사기꾼,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규칙을 깨고 속임수를 쓰는 사람들 등 모든 유형의 가해자들을 상대해봤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저격하기도 했다.

DNC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유세를 위해 방문하는 지역 신문과 인터넷을 중심으로 광고를 게재할 예정이다.

첫 번째 광고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3일 방문할 예정인 경합주 조지아의 유력신문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에 실리게 된다.

 

또한 DNC의 광고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유죄 평결 전력과 함께 낙태 문제도 부각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토론을 피하는 배경이 미국 유권자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낙태 문제에 대한 입장 표명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DNC의 광고에 대해 캐럴린 레빗 트럼프 선거본부 대변인은 "낙태에 대해선 각 주(州)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것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오래된 입장"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의 토론 문제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과의 토론에 대해 "내가 여론조사에서 앞서는데 왜 토론해야 하느냐"고 사실상 거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 사퇴 이후 해리스 부통령과 9월에 토론을 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최근에는 입장을 번복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해리스 부통령은 최근 유세에서 "나한테 할 말이 있으면 내 얼굴에 대고 하라"면서 토론 참여를 압박했다.


영등포구, 신길동 1358번지 일대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TV서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대방역 밤동산 지역 내 신길동 1358번지 일대가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지상 43층 규모의 654세대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공공임대주택과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을 포함한 공동주택을 공급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밤동산은 예전에 밤나무가 무성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이 지역은 지하철 1호선, 9호선, 신림선 등 대중교통 접근성은 좋으나, 5층 이하의 50년 된 아파트와 저층 노후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도로에는 보행자·버스·택시·지하철 이용객이 뒤섞여 다니는 등 보행환경도 매우 열악해 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 지역은 2009년 ‘신길밤동산지역 주택재개발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4년 토지 등 소유자 30% 이상의 해제요청으로 지정이 해제된 바 있다. 이후에도 수년간 지역주택조합, 공공재개발 등 다양한 개발 방식이 검토됐으나, 개발 방식과 구역 설정에 대한 주민 간 이견으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결국 일부 구역만 분리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정비구역은 제2종 일반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