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


미스 나이지리아와 남아공의 민낯

  • 등록 2024.09.07 09:41:02

 

[TV서울=이현숙 기자]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스 유니버스 나이지리아 대회에서 왕관을 쓴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치딤마 아데치나(23).

미스 남아공에 도전했다가 국적 논란 끝에 중도 하차한 뒤 미스 나이지리아 대회 주최 측의 초대를 받은 그가 뒤늦게 결선에 참여해 우승까지 거머쥐었다.

2001년 요하네스버그 인근 타운십(흑인 집단거주지)인 소웨토에서 나고 자란 아데치나는 지난 7월 미스 남아공 결선 진출자로 선발된 이후 국적 논란에 휩싸였다.

각각 나이지리아와 모잠비크 출신인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그의 출생 당시 남아공 시민권이나 영주권이 없었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남아공은 1995년 이후 자국 출생자에게는 부모 중 한 명이 남아공인이거나 영주권자이면 시민권을 준다.

그는 한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아버지는 나이지리아인이었지만 어머니가 모잠비크계 남아공인이었다고 해명했고, 주최 측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남아공 내무부가 어머니의 국적 취득 과정에서 사기와 신분 도용 혐의가 있다고 밝히면서 그는 결국 대회를 이틀 앞둔 지난달 8일 스스로 물러났다.

이 과정에서 아파르트헤이트(흑백 인종차별정책) 종식 이후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공존해 '무지개 나라'라고 불리는 남아공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많은 사람이 그의 출전 자격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소셜미디어에서 아데치나는 악랄한 제노포비아(외국인 혐오) 공격에 그대로 노출됐다.

 

극우 성향인 애국동맹(PA)이 연정에 참여하며 내각에 합류한 반이민 성향의 게이튼 매켄지 스포츠예술문화부 장관은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아데치나 때문에 기회를 빼앗긴 남아공의 아름다운 젊은 여성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가 남아공 국민이라면 내가 가장 먼저 사과하겠다"고 덧붙였다.

남아공 노동조합연맹(SAFTU)은 매켄지 장관의 이런 발언이 "외국인 혐오 괴롭힘"이라고 비난했다.

급진 좌파 성향의 경제자유전사(EFF)는 아데치나에 대한 공격이 "우리 사회를 계속 괴롭히는 분열적 이데올로기가 팽배했던 아파르트헤이트의 잔재를 반영한다"고 지적하며 아데치나에 대한 연대를 표명했다.

남아공은 과거에도 아프리카 이민자를 겨냥한 제노포비아 폭력 사태를 종종 겪었다.

5년 전인 2019년 남아공에서 외국인 혐오 범죄가 증가하면서 최소 1천500명의 외국인이 삶의 터전을 떠난 것으로 유엔난민기구(UNHCR)는 집계했다.

당시 나이지리아 정부는 남아공에서 자국민 수백명을 철수시키기 위해 전세기까지 동원하기도 했다.

2015년과 2008년에도 제노포비아에 기인한 폭력 사태로 아프리카 이민자 수십 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다.

부진한 경제 성장에도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산업화한 남아공에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서 일자리를 찾아온 이민자가 수백만 명에 달한다.

이런 상황에 남아공의 높은 실업률은 제노포비아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2분기 33.5%로 202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남아공의 실업률은 2000년대 이후 줄곧 20∼4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해 왔다.

이렇게 변함 없이 높은 실업률에 남아공 국민들이 지쳐가면서 현지 일각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적대감이 다시 커지는 분위기다.

나이지리아 대회 우승 후 아데치나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우리를 분열시키는 장벽을 허물자"라는 얘기는 이런 남아공을 향한 일성으로 풀이된다.







정치

더보기
민주,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정지' 형소법 개정안 법사위 상정 [TV서울=나재희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일 전체회의에서 대통령 당선 시 진행 중인 형사재판을 정지하도록 하는 내용의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상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상정에 반대했지만, 표결 결과 재석의원 14명 중 9명 찬성으로 개정안은 상정됐다. 민주당은 이날 법안을 법안심사소위원회에 회부해 심사한 뒤 다음 주 중 전체회의에서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김용민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은 '피고인이 대통령 선거에 당선된 때에는 법원은 당선된 날부터 임기 종료 시까지 결정으로 공판 절차를 정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306조 6항을 신설했다. 현행 헌법 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訴追)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내란·외환 이외의 죄로 이미 기소돼 재판받던 중 사후에 대통령으로 당선된 경우 형사재판을 계속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선 명확한 규정이 없다. 개정안에 따르면 대통령에 당선된 피고인의 형사재판은 재임 기간 정지된다. 김 의원은 법안 제안 이유에서 "현행 법령 체계에서는 헌법상 불소추특권과 실제 재판 운영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에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