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0.9℃
  • 흐림강릉 11.4℃
  • 흐림서울 14.0℃
  • 대전 13.1℃
  • 대구 13.2℃
  • 울산 12.7℃
  • 광주 13.0℃
  • 부산 13.5℃
  • 흐림고창 13.1℃
  • 제주 17.0℃
  • 구름많음강화 10.5℃
  • 흐림보은 11.7℃
  • 흐림금산 12.5℃
  • 흐림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3.4℃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장성규-장도연-장항준, 시청자를 웃기고 울렸다

  • 등록 2020.07.01 14:20:29

 

[TV서울=신예은 기자] 지난 6월 28일 방송된 SBS 스페셜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친근한 대화지만 무거운 여운을 남긴 1부 지강헌 사건과 2부 박인수 사건에 이어 3부에서는 정신의학 이슈로 이어지는 충격적 살인 사건을 소개했다.

3부 비디오 가게 살인 사건은 1998년 화재가 난 비디오 가게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시신이 발견된 사건이다. 당시 미라처럼 온몸이 테이프로 꽁꽁 묶인 기묘한 형태의 사망자는 다름 아닌, 비디오 가게 주인이었다. 범인은 경찰 조사에서 “기억이 안 나요. 시키는 대로 한 대 때리기만 했어요”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가 직접 촬영한 비디오에는 피해자와 협의된 보험사기용 폭행 장면 후 다시 범인이 나타나 전혀 다른 사람으로 돌변해 “나는 너를 죽이러 온 악마야”라며 잔인한 살인을 한다.

또 장성규-장도연-장항준은 고통스러운 순간을 잊기 위해 스스로 자신을 자신에게서 분리시켜 생각하게 된 여러 다중인격 사건들을 소개했다. 인간이 살기 위해 아픔을 이겨내는 방법의 절실함을 지인들에게 전달해야 했던 장트리오는 스토리에 몰입해 울보 아이부터 중2병 학생, 헐크, 살인자까지 연기를 거듭하며 타고난 이야기꾼 DNA를 선보였다. 실제 3편의 에피소드를 촬영하는 동안 현장 스태프들 마저 숨죽여 이야기를 경청했고 흐름을 위해 촬영도 거의 끊지 않고 원테이크로 진행했다는 후문이다. 이야기꾼 DNA, 시청자를 웃기고 울렸다.

장 트리오는 1부에서는 19988년 지강헌 사건을 스포 하나 없이 불려 온 지인들에게 소개해 눈물을 끌어 내기도 했고 2부 한국의 카사노바 박인수 사건에서는 사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분노를 숨기지 못했다. 장항준 감독은 내 아이의 세상을 생각하며 공감했고 장도연은 대본을 찢어 던졌다. 마지막3부는 잔인한 사건에서 시작해 인간의 고통까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매 회 포털과 SNS에서는 "웃음으로 시작해 눈물을 흘렸다"는 후기가 빠짐없이 올라왔다.

한편, SBS 스페셜 파일럿 프로젝트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기억 속 사건이지만 현대에도 생각해 볼 부분이 있는 사건들을 친근한 방식으로 소개해 사건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프로그램의 재미와 몰입을 동시에 끌어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서울시설공단, 수능당일 장애인 수험생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설공단(이사장 한국영)은 오는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치르는 장애인 수험생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울장애인콜택시에 등록된 수험생 고객(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예약은 시험 당일인 11월 13일까지 가능하다. 전화(1588-4388 또는 02-2024-4200)로 신청하면 되고 수능 당일 고사장 입실뿐 아니라 수능 종료 후 귀가 시에도 우선 배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공단은 수험생 우선 배차 안내를 위해 장애인 수험생 대상 문자 발송 및 장애인 단체에 공문 발송도 할 예정이다. 사전 예약을 미처 하지 못한 수험생의 경우에도 수험생의 수능 당일 이용 신청 시 우선적으로 배차할 계획이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장애인콜택시 우선 배차 서비스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수험생들이 불편 없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원활한 수능시험 응시를 위해 진행하는 서비스인 만큼 수능시험 당일 다른 이용자분들의 협조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 지원을 위해 2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