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지난 해 극장 관객수 6천만명 못미쳐… 1인당 1.15회 관람

  • 등록 2021.02.19 13:36:32

 

[TV서울=이현숙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지난해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가 6천만명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는 19일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을 발표하고, 지난해 극장 전체 관객 수가 5,952만명으로 전년보다 73.7% 감소했다고 밝혔다.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가동된 2004년 이후 최저치로, 극장 관객 수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1억명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2억명대를 유지해왔지만,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급감했다. 또, 2010년대 들어 인구 1인당 극장 관람 횟수는 4회 이상을 유지해왔으나 이마저도 1.15회로 떨어졌다.

 

매출액도 전년 대비 73.3% 감소했한 5,104억원으로 2005년 이후 최저치이다.

 

 

지난 해 매출액 기준 박스오피스 1위는 매출액 412억원, 관객수 475만명을 기록한 '남산의 부장들'이다. 그리고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386억원, 436만명), '반도'(331억원, 381만명), '히트맨'(206억원, 241만명), '테넷'(184억원, 199만명) 등이 뒤를 이었다.

 

독립·예술영화 관객 수는 466만명으로 집계됐는데, 이중 한국 독립·예술영화 관객 수는 16.3%인 76만명에 머물렀으며, 10만명 이상 관객을 동원한 한국 독립·예술영화는 '기기괴괴 성형수' 한편에 불과했다.

 

TV와 인터넷 주문형 비디오(VOD), DVD, 블루레이, TV 채널 방영권 등 극장 외 시장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1.4% 감소한 4,5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TV VOD가 전체 극장 외 시장 매출 중 74.6%인 3,368억원를 기록했다.

 

극장 외 시장 매출 규모는 코로나19로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극장이 침체해 대규모 제작비가 투입된 작품들이 개봉을 연기하면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영화의 해외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13.3% 증가한 8,361만 달러로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전 세계 판권 판매액이나 오리지널 작품의 로케이션 유치실적이 집계되면서 전체 규모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 수출국은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대만을 비롯해 일본, 중국, 홍콩, 베트남 등 아시아권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정치

더보기
역대 최저 지지율 국민의힘…낙마로 반등 모색 '청문정국 총력' [TV서울=나재희 기자] 지지율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추락한 국민의힘이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오는 18일까지 이어지는 청문회 주간에 다수의 낙마 사례를 끌어내 이재명 정부의 인사 실패를 부각하고, 이를 지지율 반등의 계기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권오을 국가보훈부·조현 외교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무자격 오적'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자진사퇴 또는 지명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15일 곽규택 수석대변인 명의 논평도 "거대 의석만 믿고 무자격 후보자에 대한 '묻지마 방탄'을 지속한다면 국민의 엄중한 회초리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강 후보자에게 공세를 집중하는 모습이다. 강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이 다른 불법·비리 행위보다 국민적 반감을 더 자극한다는 판단에서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강 후보자에게 제기된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을 언급하면서 "이쯤 되면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같은 당 조은희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강 후보자가 청문회에 제출하지 않은 고용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