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


박병석 국회의장, ‘제5차 세계국회의장회의’ 참석

코로나 이후 처음 열리는 의회 정상회의로 87개국 국회의장 직접 참여

  • 등록 2021.09.03 16:40:05

[TV서울=김용숙 기자] 박병석 국회의장이 오는 4일부터 10일까지 5박 7일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국제의회연맹(IPU; Inter-Parliamentary Union)·오스트리아 하원 공동주최의 ‘제5차 세계국회의장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한다.

 

세계국회의장회의는 5년마다 열리는 의회 정상회의로 지난해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대유행으로 1년 늦춰 개최됐다. 이번 회의에는 IPU 회원국 179개국 중 110개국이 참여하며 87명의 세계 국회의장이 직접 참석한다. 이처럼 국가 지도자급 인사들이 대규모로 한자리에 모여 다자 국제회의에 나서는 것은 코로나 이후 처음이다.

 

박병석 의장은 오스트리아 최대 국제회의장인 오스트리아 센터(Austria Center Vienna)에서 열리는 세계국회의장 회의 개막 하루 전인 6일(현지 시간) 오스트리아 하원의장과의 회담을 시작으로 러시아, 일본, 인도 등 이 회의에 참여한 세계 의회 지도자를 연쇄적으로 만나는 등 17차례 양자 국회의장 회담을 할 예정이다.

 

박 의장은 이들과의 회동에서 국제사회 주요 현안에 대한 다자주의적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우리나라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에 대한 국제지지 기반을 넓히는 의회 외교에 나선다.

 

 

또 박 의장은 세계국회의장 회의 개막 당일 현장 토론에 참여해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글로벌 대응’과 관련, 우리나라의 입장을 발언할 예정이다.

 

박병석 의장의 오스트리아 방문은 소보트카 오스트리아 하원의장의 공식 초청으로 이뤄졌다. 6일 열릴 오스트리아 하원의장과의 단독 회담에서는 △내년 한-오스트리아 양국 수교 130주년을 맞이해 지난 6월 격상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고 △영세중립국인 오스트리아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지지한 데 대해 사의를 표명하는 등 두 나라 간의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오스트리아 방문은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2009년 5월 오스트리아를 방문한 이후 12년 만의 국회의장의 공식 방문이다. 특히 지난 6월 30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5부 요인 오찬 간담회에서 박 의장에게 “(오스트리아 국빈방문 당시) 소보트카 오스트리아 하원의장과 만났고 빈에서 세계국회의장회의가 열리는데 박 의장께서 꼭 와주십사 하는 간곡한 당부의 말씀이 있었다”고 전했었다.

 

우리 국회는 2000년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제1차 회의에 참석한 이후 국회 의사 일정과 겹쳤던 제4차 회의를 제외하고 모두 참석했다.

 

한편 박 의장은 오스트리아 도착 후 현지 동포경제인 대표를 초청해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 상황에서의 경제 활동 어려움을 경청하고 이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박 의장은 8일 세계국회의장회의 폐막에 앞서 발표될 공동선언문 채택 행사에 참여한 후 다음날인 9일 아르메니아 시모냔 국회의장과 단독 회담을 갖는 것을 끝으로 이번 공식 방문 일정을 마무리한다.

 

한편, 이번 방문에는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과 고윤희 공보수석비서관, 김형길 외교특임대사, 곽현준 국제국장, 최만영 연설비서관 등이 함께한다.


정부 고위관계자 "주한미군 역할 변화 있을 수 있다 생각"

[TV서울=나재희 기자] 정부 고위 관계자는 31일(현지시간)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은 여러가지 요인 때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간 외교 협의에 정통한 이 고위 관계자는 이날 워싱턴의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고, 변화의 요인으로 "국제정세 변화, 기술적 변화, 중국의 전략적 역할 확대" 등을 거론했다. 6ㆍ25전쟁 정전에 이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주한미군은 주로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고 대비하는 역할을 해온 상황에서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가능성을 직접 거론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미동맹의 '현대화'를 모색중인 가운데, 미측은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를 대만해협 유사시 등으로 넓히는 '전략적 유연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 일부를 괌 등으로 재배치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정부 고위 관계자의 주한미군 역할 변화 언급은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주한미군 역할 확대 추진 가능성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고위 관계자는 "동맹국이






정치

더보기
정부 고위관계자 "주한미군 역할 변화 있을 수 있다 생각" [TV서울=나재희 기자] 정부 고위 관계자는 31일(현지시간)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은 여러가지 요인 때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간 외교 협의에 정통한 이 고위 관계자는 이날 워싱턴의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고, 변화의 요인으로 "국제정세 변화, 기술적 변화, 중국의 전략적 역할 확대" 등을 거론했다. 6ㆍ25전쟁 정전에 이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주한미군은 주로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고 대비하는 역할을 해온 상황에서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가능성을 직접 거론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미동맹의 '현대화'를 모색중인 가운데, 미측은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를 대만해협 유사시 등으로 넓히는 '전략적 유연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 일부를 괌 등으로 재배치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정부 고위 관계자의 주한미군 역할 변화 언급은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주한미군 역할 확대 추진 가능성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고위 관계자는 "동맹국이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