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최혜진 "이번 기회는 안 놓쳐"…안나린 "첫 승 감격, LPGA서도"

  • 등록 2022.08.28 11:35:12

 

[TV서울=신예은 기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데뷔 첫 우승을 놓고 챔피언조에서 만나게 된 신인 최혜진(23)과 안나린(26)이 양보 없는 경쟁을 예고했다.

 

최혜진은 28일(한국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의 오타와 헌트 앤드 골프클럽에서 열린 LPGA 투어 CP 여자오픈 3라운드를 마치고 "이전에도 많은 우승 기회가 있었는데 아쉬운 기억이 많다. 다시 한번 기회가 온 만큼 후회 없는 경기를 하겠다"며 "내일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혜진은 이날 5언더파 66타를 쳐 중간합계 16언더파 197타를 기록, 2위에서 공동 선두로 도약했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10승을 거두고 3년 연속(2018∼2020년) 대상을 차지하는 등 국내 무대를 평정했던 그는 도전한 미국 무대에서도 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오다 첫 우승의 기회를 맞이했다.

 

 

최혜진은 "오늘 첫 홀 퍼트 실수 탓에 보기로 시작해 흔들리긴 했지만, 같이 경기하는 선수들이 좋은 플레이를 한 덕분에 나도 흐름을 타면서 할 수 있었다"며 "초반에 샷 감각이 좋지 않았으나 후반에는 잘 됐을 때의 느낌이 다시 나왔다"고 자평했다.

 

아마추어 시절이던 2015년 오타와에서 열린 월드 주니어 걸스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는 그는 "캐나다는 굉장히 좋은 기억이 많은 나라"라며 "우승하게 된다면, 아직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좋은 것들을 많이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2라운드 선두였던 안나린이 이날도 리더보드 맨 위를 지키며 두 한국 출신 루키가 최종 라운드 챔피언 조에서 공동 선두로 우승 경쟁에 나서게 됐다.

 

지난해 말 LPGA 투어 퀄리파잉(Q) 시리즈에서 안나린이 1위, 최혜진이 공동 8위로 통과하며 주목받았고, 이들은 지난달 2인 1조로 나서는 대회인 다우 그레이트 레이크스 베이 인비테이셔널에 팀으로 호흡을 맞춰 공동 6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번 대회에선 이날 3라운드에 이어 마지막 날에도 같은 조에서 경기한다.

 

최혜진은 "(안나린과) 한국에서는 그렇게까지 가까운 사이는 아니었으나 미국에서 좀 더 돈독해지고, 라운드를 같이하면서 친해졌다"며 "오늘은 각자 경기에 집중하다 보니 많은 대화를 하지는 않았지만, 남은 라운드에서도 같이 좋은 경기와 결과를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나린 역시 "최혜진과 한국 투어에서부터 알았다. 경기해야 하니 서로 많은 말을 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했다"고 전했다.

 

안나린은 "샷이 흔들리고 퍼트도 몇 개 안 들어가서 전반적으로 어제, 그제보다는 내 마음에 들지 않는 라운드였다"면서도 "큰 실수를 하지 않은 점은 높이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돌아봤다.

KLPGA 투어에서 2승을 올렸던 그는 "어디에서든 첫 번째 우승은 감격스러울 것 같다. 한국에서도 그랬고, 미국에서도 한다면 그럴 것"이라며 우승 의지를 다졌다.


김종길 시의원, “서울 준공업지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전환 힘쓸 것”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종길 의원(국민의힘, 영등포2)이 대표로 활동 중인 의원연구단체 ‘서울준공업지역 발전포럼’이 추진한 정책연구용역 ‘직·주·락(樂) 복합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시 준공업지역 규제 개선방안’이 지난 7월, 최종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산업 쇠퇴와 도시 노후화가 진행 중인 서울시 서남권 준공업지역의 현황을 진단하고, 직주근접과 생활여건을 갖춘 복합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김종길 의원이 2023년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도시 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의 용적률 상한이 400%까지 완화된 것을 계기로, 서울시가 2024년 11월 발표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보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제도개선방안’에서 제시한 ‘공장비율 10%’ 기준이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오히려 산업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행 ‘공장 정의’가 현실과 괴리되어 나대지나 주차장도 공장부지로 간주되는 문제를 짚으며, 공장비율 산정 기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