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1℃
  • 흐림대전 3.7℃
  • 맑음대구 5.5℃
  • 맑음울산 5.1℃
  • 흐림광주 5.9℃
  • 맑음부산 5.5℃
  • 흐림고창 5.6℃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강화 -1.5℃
  • 맑음보은 1.6℃
  • 흐림금산 4.2℃
  • 구름많음강진군 6.9℃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송파구, ‘우리동네 키움센터 우수사례 공모’서 서울시장상… 자치구 유일

  • 등록 2024.06.24 14:27:25

 

[TV서울=심현주 본부장] 송파구(구청장 서강석)가 키움센터 운영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서울특별시장상을 수상한다.

 

송파구는 지난 4월 서울시가 주관하고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주최한 ‘2024년 우리동네 키움센터 운영사례 공모전(이하 공모전)’에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고 23일 밝혔다.

 

공모전은 초등돌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와 성과를 공유하기 위하여 서울시 내 우리동네 키움센터와 자치구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3회째인 올해는 ▲아동주도활동 ▲자유주제 2개 부문에서 총 129건이 접수되었다. 이 중 송파구를 포함하여 총 10개 사례가 선정되었다.

 

 

송파구는 ‘키움센터는 어떤 곳인가요?’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제작하여 자유주제 부문에 공모하였다. 영상에는 다양한 활동 기록과 이용자 소감으로 키움센터 성과를 생생하게 담았다.

 

아이들은 “키움센터가 우리 집 같아서 좋아요”, “좋아하는 책과 놀잇감이 많아서 행복해요”라고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표현하였고, 학부모들은 “직장에서 일하는 동안 믿고 맡길 수 있어서 안심이다”, “돌보는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교육과 활동이 있어 좋다” 등 돌봄을 넘어선 다양한 활동을 송파키움센터의 장점으로 꼽았다.

 

특히, 송파키움센터 활동 중 한성백제박물관 탐방, 송파산대놀이 체험 등 지역 역사자원과 연계한 활동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움센터 중에서는 ‘놀이터 연구소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한 4개소가 자유주제 부문 우수사례에 함께 선정되었다. 이들은 가락본동, 장지동, 위례동, 위례동2호점으로 아동 보호 차원을 넘어 아동권리 신장을 위한 ‘놀 권리 찾기’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친 것이 인정받았다.

 

현재 송파구는 송파키움센터 19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현장의 높은 만족도와 증가하는 수요를 반영하여 올해 안에 ‘장지동2호점’을 추가 조성해 총 20개소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마을 돌봄의 성공 사례인 송파키움센터를 점차 늘려 더 많은 어린이들에게 돌봄을 제공할 것”이라며 “신뢰받는 공적 돌봄으로 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하고, 부모는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초저출생 시대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 프린스그룹 등 '온라인 스캠' 첫 독자제재

[TV서울=변윤수 기자] 정부가 27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인 대상 스캠사기 및 유인·감금 등 범죄 활동에 관여한 개인 15명과 단체 132개를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한다. '태자단지'와 '망고단지' 등 다수의 한국인이 감금됐던 대규모 스캠단지를 조성·운영한 프린스그룹과 자회사들, 천즈 회장이 제재 대상에 올랐다. 또 범죄조직의 자금세탁에 관여한 후이원그룹과 자회사들도 제재 대상이 됐다. 중국계로 알려진 천즈 회장은 캄보디아 최고 실세인 훈 센 전 총리의 고문을 맡는 등 정치권과 밀착해 사업을 키운 인물로, 대규모 사기 범죄 단지를 운영해 막대한 부를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캄보디아 보하이 스캠단지에서 각종 스캠 범죄를 저지른 한청하오, 한국 대학생 감금·폭행 사망사건의 용의자이자 마약 밀반입 혐의를 받는 리광하오 등도 제재 대상이다. 제재 기관들은 캄보디아,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뿐 아니라 조세회피처로 알려진 팔라우,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만제도 등 여러 지역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개인·단체는 관계 법규에 의거해 가상자산을 포함한 국내 자산동결, 국내 금융거래 제한, 개인의 경우 입국 금지 등의 조치가 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