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올림픽] '금빛 총성' 울린 10대 여사수 오예진·반효진…4년 뒤도 '든든'

  • 등록 2024.07.30 08:41:56

 

[TV서울=이현숙 기자] '사격 황제' 진종오의 은퇴 이후 한동안 어두운 터널을 지나야 했던 한국 사격은 2024 파리 올림픽을 통해 부활에 성공했다.

개막 이후 불과 사흘 만에 한국 사격이 얻은 메달은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로 총 4개다.

앞으로 메달 하나만 추가하면,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세운 역대 한국사격 최고 성적(금메달 3개, 은메달 2개)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 한국 사격이 더욱 희망적인 이유는 메달을 목에 건 선수들의 연령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세계 랭킹 35위로 많은 주목을 받지 않았던 오예진(IBK기업은행)은 28일(이하 현지시간) 공기권총 여자 개인전에서 19세의 나이로 올림픽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오예진은 '모 아니면 도'다. 만약 올림픽에서 '모'가 나오면 오예진은 금메달을 딸 것으로 기대했다"고 말한 김태호 대한사격연맹 실무부회장의 말대로, 오예진은 처음 출전한 올림픽에서 당당하게 과녁을 겨냥하고 연달아 '모'를 쐈다.

그리고 29일에는 공기소총 여자 개인전에서 16세의 '여고생 소총수' 반효진(대구체고)이 시상대 꼭대기에 섰다.

처음 총을 잡은 지 불과 3년 만에 국가대표 선발전 1위, 올림픽 본선 신기록, 결선 타이기록을 연거푸 세운 반효진을 두고 사람들은 타고난 천재라고 오해한다.

그러나 반효진이 처음 사격을 시작했을 때 재능을 알아보고 길을 안내한 고훈 동원중학교 코치는 "반효진 선수는 중학교 때부터 코치가 말한 내용을 장시간 숙지하고, 연구를 통해 자기에게 맞는 사격 기술을 습득하는 선수"라고 숨은 노력을 공개했다.

 

반효진은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할 정도로 기억력이 뛰어난 선수였다고 한다.

단순히 자신이 기술만 습득하고 끝내는 게 아니라, 기술을 중학교 후배들에게 전수해 함께 성장하는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역대 한국 하계 올림픽 100번째 금메달이자, 최연소 금메달리스트 기록을 세운 반효진은 금메달을 목에 건 뒤 어떤 선수가 되고 싶은지 묻자 "'쟤는 어디까지 성장할 생각이야?'라는 말을 듣는 선수가 되고 싶다"는 당찬 목표를 밝히기도 했다.

이들이 있어서 한국 사격은 4년 뒤에도 든든하다.

2028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에서 오예진은 23세, 반효진은 고작 20세다.

물론 치열한 경쟁을 통해 국내 대표선발전을 통과해야겠지만, 사격계에서는 두 선수가 지금 마음만 잊지 않으면 오랜 시간 국가대표로 활약할 재능이 충분한 선수로 본다.

이들이 끝이 아니다.

공기소총 혼성에서 은메달을 합작한 박하준(KT)과 금지현(경기도청)은 올해 24세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때는 선수로 한창 기량이 무르익는 20대 후반이 된다.

남자 공기소총 선수로는 20년 만에 올림픽 무대 본선에 올라간 최대한(19·경남대)도 이번 올림픽을 통해 부쩍 성장했고, 금메달 후보로 기대 중인 25m 권총의 양지인(한국체대)도 2003년에 태어난 20대 초반 선수다.


이진숙 방통위원장, “국무회의 배석 제외 아쉬워… 임기는 내년 8월까지”

[TV서울=변윤수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앞으로 국무회의에 배석하지 못하게 된 것과 관련해 "아쉽게 생각한다"면서도 "임기는 내년까지"라며 여권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에는 응할 의사가 없음을 9일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에 대한 국무회의 배석 제외 결정에 대해 "국무회의에서는 국정 전반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 중요한 안건을 의결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아쉬운 것이 사실"이라며 "참석할 기회가 더 있다면 방통위를 정상화해주시라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몇 차례 더 요청했겠지만, 그 기회가 박탈돼서 안타깝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국무회의 배석 제외 결정과 관련해 대통령실로부터 별도의 연락을 받은 바는 없다며 언론을 통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브리핑을 접하고 해당 사실을 알게 됐음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방통위 상임위원 5인 완전체가 구성돼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이 왔으면 좋겠다"며 국무회의 배석 제외로 이 같은 의견을 대통령에게 직접 전할 수 없게 됐다고 거듭 아쉬움을 나타냈다. 오는 22일로 예정된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와 관련한 후속 조치와 스팸 방지를 위해






정치

더보기
이진숙 방통위원장, “국무회의 배석 제외 아쉬워… 임기는 내년 8월까지” [TV서울=변윤수 기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앞으로 국무회의에 배석하지 못하게 된 것과 관련해 "아쉽게 생각한다"면서도 "임기는 내년까지"라며 여권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에는 응할 의사가 없음을 9일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에 대한 국무회의 배석 제외 결정에 대해 "국무회의에서는 국정 전반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 중요한 안건을 의결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아쉬운 것이 사실"이라며 "참석할 기회가 더 있다면 방통위를 정상화해주시라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몇 차례 더 요청했겠지만, 그 기회가 박탈돼서 안타깝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국무회의 배석 제외 결정과 관련해 대통령실로부터 별도의 연락을 받은 바는 없다며 언론을 통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브리핑을 접하고 해당 사실을 알게 됐음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방통위 상임위원 5인 완전체가 구성돼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이 왔으면 좋겠다"며 국무회의 배석 제외로 이 같은 의견을 대통령에게 직접 전할 수 없게 됐다고 거듭 아쉬움을 나타냈다. 오는 22일로 예정된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와 관련한 후속 조치와 스팸 방지를 위해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