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유진천 기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17년 119 구급대 활동에 대한 통계를 분석해 발표했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구급차는 151대로, 지난 한 해 총 54만 5,182건 출동 34만 2,975명의 환자를 이송했다. 이는 일평균 1,494건 출동한 것으로 1분에 한 건 출동한 셈이다. 환자이송은 일평균 940명으로 92초마다 한 명씩 이송했다. 전년대비 출동건수는 3.2%가 증가했고, 이송인원은 0.2% 감소한 추이를 보였다. 최근 3년간 구급대의 출동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한심폐소생협회의 정보에 따르면 심정지환자의 경우 주변에서 1분 이내에 CPR 처치를 할 경우 97% 소생률, 2분이내 90%, 3분 이내 75% 소생률을 보이며 4분 이내의 경우 50%까지 소생률이 감소한다고 한다. 황금시간인 4분 내 현장 도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연령별로는 51~60세(54,861건, 16%)가 가장 많았다. 전년대비 3.8% 증가한 모습을 보이며 고령화에 따른 노년층의 구급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무직이 135,244(39.4%)으로 가장 높았다. 회사원 80,225명(23.4%), 주부 43,483명(12.7%) 순이었고,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높은 직업군은 자영업자로 258.3% 증가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10시가 36,366건(10.6%)으로 가장 많았다. 월별로는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는 12월이 31,834(9.3%)건으로 비율이 높았고 뒤이어 7월 30,882명(9%), 8월 30,489명(8.9%), 9월 29,946명(8.7%)순이었다.
장소는 집안 194,530명(56.7%)으로 전체 이송의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급/만성질환으로 인한 이송이 220,243명(64.2%)이 가장 많았으며, 추락/낙상50,603명(14.75%), 교통사고 32,115명(9.36%), 기타사고 40,014(11.66%) 순이었다.
정문호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장은 "2018년 더 나은 구급서비스 제공을 위해 6월부터는 119 구급차에서 실시간 병원정보 조회 시스템을 구축하고, 하반기에는 119에 신고하면 구급차가 어디쯤 오고 있는 지 알려주는 '구급차 위치 실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018년에도 119구급대는 시 전역에서 4분 이내 도착을 목표로 시민생명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