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8℃
  • 안개대전 5.8℃
  • 박무대구 7.2℃
  • 박무울산 10.8℃
  • 박무광주 8.0℃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5.3℃
  • 구름조금제주 15.8℃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2.2℃
  • 흐림금산 4.2℃
  • 맑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6.3℃
  • 맑음거제 10.7℃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서울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외국인 이용 영어가 일어 앞서

외국인 '2호선'과 '4호선', '명동역' 이용 최다… 내국인은 '고속터미널역'

  • 등록 2014.09.10 13:19:23

서울을 찾는 외국인들은 ‘2호선‘4호선을 많이 이용하고, ‘명동역을 가장 많이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2013년부터는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영어이용건수가 기존에 가장 많았던 일본어를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가 2011년
~2013년까지 3년 간 서울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외국인 이용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서울시는 20095월부터 각 역사에 설치된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발매기에서 영어일본어중국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일회용 교통카드 발매기 사용 시, 첫 화면에서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3개 언어 중에 원하는 언어를 클릭하면 목적지 선택부터 요금 지불까지 해당 언어로 이용할 수 있다.

2011
~2013년까지 3년 간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외국인 이용건수는 총 1,400만 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와 외국어를 모두 합한 일회용 교통카드 전체 이용건수(17,800만 건) 대비 7.9%에 해당된다3년 간 언어별 이용건수는 일본어가 가장 많았으며(686만 건, 3.9%), 영어(510만 건, 2.9%), 중국어(204만 건, 1.1%) 순이었다.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외국인 이용건수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470 2012490 2013440만 건으로 해마다 4백 만 건 이상 꾸준히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회용 교통카드 전체 발매건수 중 내국인 수요는 매년 감소하는 반면 외국인의 이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일회용 교통카드 외국인 이용률은 20116.9% 20128.3% 20138.4% 해마다 늘고 있으며, 2014  상반기에는 9.5% 달했다.

언어별 이용비율 순위 변화도 눈에 띄었다
. 2011년에는 일본어(55.7%) > 영어(33.6%) > 중국어(10.7%) 순이었으나 2013년에는 영어(41.0%) > 일본어(39.0%) > 중국어(20.0%) '13년부터 영어가 일본어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일본어 이용건수가 2
0112602013170만 건으로, 34.6% 감소한 반면, 중국어의 경우 2011년 50만 건201388만 건으로, 66% 가량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3년 인천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일본인 관광객 수는 216만 명, 중국인은 219만 명으로 비슷한 수준인 반면 언어별 지하철 일회용 교통카드 이용건수는 일본어가 172만 건으로 중국어(88만 건)보다 2배 많아 상대적으로 일본인의 지하철 이용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도별로 발매건수를 살펴보면 2
011년 중국어(50만 건) 대비 일본어(262만 건) 이용이 5배 이상 많았으며, 2012년 중국어(66만 건)보다 일본어(252만 건)가 약 4배 많았다.


시는 이러한 현상을 단체 여행이 많은 중국인 관광객은 주로 여행사 전세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고, 자유여행을 선호하는 일본인 관광객은 시내버스나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내국인의 경우, 고속터미널역(월평균 33.5만 건) > 서울역(27.6만 건) > 강변역(18.4만 건) 순으로 많이 이용된 것과 비교해 확연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어는
6월에 10.8%, 일본어는 3월에 12.3%로 이용이 가장 많았으나 영어는 연중 내내 10% 내외를 유지하며 월별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들어
2호선 이대입구역에서 중국인 이용률이 대폭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20131~6월 이대입구역에서 중국인이 발급받아간 일회용 교통카드는 총 13천 건이었으나 2014년에는 29천 건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114.7%)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작년과 올해
, 시내 전체 역사의 중국인 이용률 증가 폭(79.9%)보다 34.8%p 가량 더 높은 수치다.

시는 이러한 현상이 이화여대의
이화(梨花)’가 중국어로 돈이 불어나다는 의미 리파(利發)’와 발음이 비슷해 중국인들이 이곳을 관광명소로 찾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게다가 ‘SBS 별에서 온 그대등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도 전반적인 중국인 이용 급증에 한 몫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언어마다 시간대별로 많이 찾는 역사도 달랐다
. 영어는 09~10시 경복궁역(3호선), 22시 이후 홍대입구역(2호선) 하차가 많았고 일본어는 05~06시 서울역(14호선) 중국어 이용자는 22~24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많이 내렸다. 이 시간대를 제외한 영일어 모두 명동역(4호선)이 전체 시간대에서 1위를 기록했다.

 

서울시 천정욱 교통정책과장은 앞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양한 승차권 도입을 검토하는 등 서울을 찾는 외국인이 대중교통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천하람, "10·15 대책 조정지역 8곳 지정요건 미충족… 불리한 9월 통계 배제"

[TV서울=이천용 기자] 개혁신당 천하람 원내대표는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 "서울 4개 지역, 경기 4개 지역 총 8개 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처분은 법률상 요건을 갖추지 못해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도봉·강북·중랑·금천, 경기 의왕, 성남 중원, 수원 장안·팔달 지역을 거론, "이들 지역은 주택가격상승률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0·15 대책이 발표된 당일에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발표가 예정돼 있었다고 언급하면서 "이재명 정부는 9월 통계가 공식 발표되기 하루 전 주거정책심의위를 열고 9월 통계가 발표되는 당일에 대책을 발표했다"고 했다. 이어 "이미 서울 전역 등을 규제지역에 넣겠다는 답을 정해놓고 자신들의 결론에 맞지 않는 불리한 9월 통계는 배제하고 8월까지의 통계만 취사선택한 것"이라며 "주민 입장에선 '광의의 통계조작'이라고 느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김연기 법률자문위원장은 "조속한 시일 내에 정부의 10·15 조정대상지역 지정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를 제기함과 동시에, 조정대상지역 주민의 위임을 받아 지정해제 신청 및 거부처분






정치

더보기
천하람, "10·15 대책 조정지역 8곳 지정요건 미충족… 불리한 9월 통계 배제" [TV서울=이천용 기자] 개혁신당 천하람 원내대표는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 "서울 4개 지역, 경기 4개 지역 총 8개 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지정처분은 법률상 요건을 갖추지 못해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도봉·강북·중랑·금천, 경기 의왕, 성남 중원, 수원 장안·팔달 지역을 거론, "이들 지역은 주택가격상승률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0·15 대책이 발표된 당일에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발표가 예정돼 있었다고 언급하면서 "이재명 정부는 9월 통계가 공식 발표되기 하루 전 주거정책심의위를 열고 9월 통계가 발표되는 당일에 대책을 발표했다"고 했다. 이어 "이미 서울 전역 등을 규제지역에 넣겠다는 답을 정해놓고 자신들의 결론에 맞지 않는 불리한 9월 통계는 배제하고 8월까지의 통계만 취사선택한 것"이라며 "주민 입장에선 '광의의 통계조작'이라고 느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김연기 법률자문위원장은 "조속한 시일 내에 정부의 10·15 조정대상지역 지정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를 제기함과 동시에, 조정대상지역 주민의 위임을 받아 지정해제 신청 및 거부처분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