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3.3℃
  • 흐림강릉 13.6℃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2.2℃
  • 맑음대구 13.8℃
  • 맑음울산 14.7℃
  • 박무광주 15.3℃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1.4℃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9.6℃
  • 맑음금산 10.0℃
  • 맑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16.0℃
기상청 제공

동영상


[영상] 조태용, 강경화 장관 교체 “北 김여정 한마디에 무너진 것”

  • 등록 2021.01.21 18:08:58

 

[TV서울=이천용 기자] 외교부 1차관 출신의 국민의힘 조태용 의원은 20일 페이스북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 교체와 관련해 “김여정 말 한마디에 무너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해 말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는 북한의 주장을 믿기 어렵다’는 강 장관에게 김여정이 망언이라며 ‘정확히 계산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한대로 오늘 계산이 이뤄졌다”며 “일부에서 바이든 신행정부 출범에 맞춰 새롭게 외교라인을 정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것에 대해선 “앞뒤가 맞지 않는다. 미 대선 직후인 지난 해 11월, 바이든 행정부 인사들을 만나라고 문 대통령이 강 장관을 방미시킨 것이 이를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장관 인사는 북한의 입을 쳐다봐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문재인 정부에게 묻고 싶다.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내팽개친 것도 모자라 이제는 북한의 ‘위임통치’라도 받을 셈인가?”라고 비판했다.

 

<김여정 하명 인사에 ‘오경화’도 무너졌다. 문재인 정권, 이제는 북한의 ‘위임통치’라도 받을 셈인가>

 

 

OK(K5) 신화는 결국 깨졌다. 강경화 외교부장관 이야기다.

 

강 장관은 ‘인형같이 존재감이 없다’는 평가에도 끄덕없었고,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 식사 다섯 번에 한번은 강 장관과 같이 할 정도로 최애하는 장관이었다. 그래서 외교가에서는 문재인 정부와 5년 임기를 함께 한다는 의미의 ‘오경화’라는 별칭까지 생겼다. 근데 바뀌었다. 김여정 말 한마디에 무너진 것이다.

 

코로나가 북한을 더 북한답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김여정이 나서 “망언”이라 비난하고 “정확히 계산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시에는 설마 ‘강 장관까지 바꾸겠어’ 했는데, 오늘, 김여정 말대로 정확히 계산이 이루어졌다.

 

일부에서는 바이든 신행정부 출범에 맞춰 새롭게 외교라인을 정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지만, 앞뒤가 맞지 않는다. 미 대선 직후인 지난 해 11월, 바이든 행정부 인사들을 만나라고 문 대통령이 강 장관을 방미시킨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이미 문재인 정부는 “법이라도 바꾸라”는 김여정의 지시에 ‘대북전단금지법’을 만들어 상납했고, 문 대통령은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하라”는 김정은의 명령에, “북한과 협의하겠다”고 화답했다. 천안함 폭침의 주역인, 김영철이 “경박하고 우매하다”고 비판하자 정경두 국방장관을 교체했고, 김여정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며 데스노트를 찍어내자 김연철 통일부장관도 경질됐다.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장관 인사는 북한의 입을 쳐다봐야 하는 상황이 됐다. 북한이 ‘특등머저리’라고 욕을 해도, 북한의 말은 절대 불가침인가 보다.

 

문재인 정권에게 묻고 싶다.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내팽개친 것도 모자라 이제는 북한의 ‘위임통치’라도 받을 셈인가?” (사진: 연합뉴스 / 음성: 클로바 더빙)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