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


2020년 월평균 소비지출 240만원… 2.3% 감소

  • 등록 2021.04.08 15:14:39

[TV서울=이현숙 기자]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소비지출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0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40만원으로 1년 전보다 2.3% 감소했다.

 

이는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단, 조사방법이 다른 2017과 2018년은 포함되지 않았다.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2.8% 줄었다.

 

 

항목별로 보면 작년 대비 오락·문화 지출(14만원)은 22.6%, 교육 지출(15만9천원)은 22.3%, 의류·신발(11만8천원)은 14.5%, 음식·숙박(31만9천원)은 7.7% 감소했으며, 모두 역대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정구현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국내외 단체여행이나 운동, 오락 시설 등의 이용이 줄고 외식이나 주점 등 식사비도 줄었다”며 “교육 지출은 학원 수업 축소와 고교 무상교육 확대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 2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통신비 지원의 영향으로 통신 지출(12만원)도 2.6% 감소했다.

 

그러나,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38만1천원)은 지난해에 대비해 14.6% 증가해 역대 최대 증가율을 나타는데, 코로나19 이후 집밥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식품 물가가 4.4% 오른 영향이다.

 

마스크와 영양제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보건 지출(22만1천원)도 9.0% 증가했다.

 

 

주류·담배 지출(3만8천원)은 지난 해보다 4.8% 증가했는데, 주류(13.7%)는 증가했으나 담배(-0.7%)는 소폭 줄었다.

 

지출 항목별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15.9%)가 가장 컸고, 음식·숙박(13.3%), 교통(12.0%), 주거·수도·광열(11.9%)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32만원으로 전년보다 7.4% 줄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1인 가구 지출은 교통(-33.0%), 교육(-40.2%) 등에서 감소하고, 식료품·비주류음료(9.4%), 주거·수도·광열(1.0%) 등에서 증가했다.

 

또, 2인 가구은 204만원(-1.6%), 3인 가구 301만원(1.0%), 4인 가구 369만4천원(-0.7%), 5인 이상 가구 397만2천원(-2.5%) 등으로 나타났다.

 

지출 비중을 항목별로 보면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 지출(25만7천원) 비중이 19.5%로 가장 컸다. 월평균 소비지출의 5분의 1은 주거 관련 비용으로 나간 셈으로, 지출 비중은 전년(17.9%)보다 더욱 확대됐다.

 

반면 4인 가구와 5인 이상 가구는 교육 지출 비중이 각각 12.2%, 13.4%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