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유튜브 주식채널이 개인투자자 의사결정 왜곡"

  • 등록 2021.04.13 17:08:12

 

[TV서울=이천용 기자] 유튜브 주식채널의 영향력이 커질 경우 개인투자자의 의사결정이 왜곡되고 군집행동으로 인해 시장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3일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 증가, 어떻게 볼 것인가?' 주제로 연구원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의 영향력과 개선과제를 논의하며 이처럼 지적했다.

 

남 연구위원이 조회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인 인기 주식채널 2곳을 선별해 특징을 분석한 결과 주식채널에서 긍정적으로 언급된 종목은 당일 시장수익률을 평균 0.82% 상회하는 수익률, 부정적으로 언급된 종목은 시장수익률을 평균 1.76% 하회하는 수익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 유튜브 채널의 정보가 어느 정도 유익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남 연구위원은 언급했다.

 

그러나 남 연구위원은 이런 효과가 사후적인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 방향이 언급된 종목은 이미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를 비롯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던 종목일 가능성이 크다"며 "언급된 당일 신규 투자자가 급증한 종목도 해당 기업 관련 새로운 뉴스가 미디어의 관심을 받은 결과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 연구위원은 유튜브 채널의 위험 요인으로 ▲ 특정 정보에 편중해 노출돼 자기 확신이 증폭되는 '반향실 효과' ▲ 유명 출연자의 주장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면서 잘못된 의사결정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정보 캐스케이드 효과' ▲ 주식채널 언급에 따른 '군집행동' 등을 꼽았다.

 

그는 국내 투자자가 몰렸던 중국 드론 제조업체 이항홀딩스의 주가 급등락 사례를 언급하며 "폭락 직전까지 반복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던 유튜브 채널들은 다수가 침묵하거나 과거 방송을 삭제해 시청자 비난에 수세적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항홀딩스 사례에서 대부분 유튜브 채널이 외국 상장기업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하지 않고 자의적으로 선택한 기사를 단순 번역해 전달하거나 2차 정보를 선별해 일방적으로 방송하는 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남 연구위원은 "이항 홀딩스 사례에서 나타난 일부 유튜브 주식채널의 무분별한 낙관적 전망 유포와 주가 폭락 뒤의 무책임한 행태는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워런 버핏, 깜짝 은퇴 선언 "연말에 물러날 것…시장에 겁먹지 말아야"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버핏 회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밝혀 주주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2021년 에이블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회사의 비보험 사업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왔기에 그의 사후에야 에이블 부회장이 CEO를 맡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버핏 회장은 은퇴해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면서 이는 에이블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버핏 회장은 이날 열린 60번째 연례 주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버핏 회장은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우리가 손해 보는 게 아니라 우리도 그들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