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30대 그룹 임원 중 1969년 이후 태어난 사람이 절반에 육박해 세대교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올해 3분기 기준 30대 그룹 상장사 197개 기업의 사외이사를 제외한 임원 7,438명을 조사한 결과 X세대(1969∼1978년 출생자)와 밀레니얼 세대(1979년생 이하 출생자) 임원이 3,484명으로 46.8%를 차지해 2년 전인 2019년 3분기 27.3%와 비교해 19.5%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86세대(1959∼1968년 출생자)는 비중이 줄었으나, 51.0%에 달해 여전히 가장 많았다.
IT 기업에서 임원 세대교체가 가장 두드러졌다. 네이버는 임원 121명 중 7명을 제외한 114명(94.2%)이 X세대 이하였다. 특히 최근 새 대표이사로 내정된 최수연 책임리더(1981년생) 등 23명은 밀레니얼 세대였다.
카카오그룹 역시 3개 상장사 임원 15명 중 1966년생인 김범수 의장을 제외한 14명이 모두 X세대 이하다.
상위 4대 그룹은 임원 4,280명 중 X세대 이하가 2,081명으로 48.6%를 차지했다.
삼성은 16개 상장사 임원 1,861명 중 55.5%인 1천33명이 X세대 이하로, 2년 전(35.1%)보다 20.4%p 늘었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12개 상장사 임원 1,051명 중 32%인 336명이 X세대 이하로 2년 전 22.3% 보다는 약 9.7%포인트 높아졌지만, 비중 자체는 4대 그룹 중 가장 낮았다.
SK그룹은 19개 상장사 임원 623명 중 X세대 이하가 334명으로 53.6%를 차지했는데, 2년 전보다 21.7%포인트 늘었다.
LG그룹도 13개 상장사 임원 745명 중 X세대 이하가 378명으로 50.7%에 달해 2년 전 대비 21.4%포인트 증가했다.
X세대 이하 임원 비중을 업종별로 보면 네이버(94.2%), 카카오(92.9%), 셀트리온(72.7%), CJ(67.4%), 롯데(61.3%), 신세계[004170](54.4%), 현대백화점(51.2%) 등 IT·바이오·유통 업종이 평균 이상이었다.
그러나 중후장대 산업 중심인 포스코(0.7%), 한진(13.9%), 에쓰오일(16.4%), LS(22.6%) 등은 크게 낮았다.
30대 그룹 임원 중 밀레니얼 세대만 따로 보면 네이버 23명, 삼성 13명, SK와 CJ 각 9명, 한화 8명 등 95명으로 전체의 1.3%였다.
한편, 30대 그룹 임원 중 최연소는 하림그룹 김홍국 회장의 장녀인 김주영 이사보로 1988년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