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금지곡이 어쩌다 홍콩의 '국가(國歌)'가 된 사연

  • 등록 2022.11.26 09:44:43

 

[TV서울=나재희 기자] "한국 언론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해 진짜 스태프의 실수일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분위기는 없나요?"

최근 홍콩에서 벌어진 '국가(國歌)' 관련 소동을 둘러싸고 한 홍콩 매체 기자가 던진 질문이다.

"없다"고 답했더니 홍콩 기자는 "하긴 한국 사회에서는 관심사가 아닌 것 같다"며 멋쩍은 듯 웃었다.

요약하면 지난 13일 인천에서 열린 '2022 아시아 럭비 세븐스시리즈' 2차 대회 남자부 한국-홍콩 결승전 직전 국가 연주 시간에 다른 노래가 흘러나왔다. 문제는 하필 그 곡이 홍콩에서 금지곡인 2019년 반정부 시위 노래 '글로리 투 홍콩'이었다는 것이다. 홍콩의 독립을 지지하는 노래다.

 

뒤늦게 오류를 인지한 주최 측은 공식 사과했고 홍콩팀이 우승한 뒤 열린 시상식에서는 제대로 된 홍콩 국가를 틀었다.

그렇다면 여기서 퀴즈. 홍콩의 국가는 무엇일까.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의 국가는 중국 국가인 '의용군 행진곡'이다.

그런데 구글, 유튜브 등 여러 검색 엔진에서 '홍콩의 국가'를 검색하면 무엇이 뜰까. '글로리 투 홍콩'이 상단에 뜬다. 홍콩 반정부 시위대가 이를 '비공식 국가'로 부른 까닭이다.

인천에서 벌어진 사고는 아시아럭비연맹으로부터 홍콩 국가 연주 테이프를 전달받지 못한 대한럭비연맹 스태프가 인터넷에서 '홍콩 국가'를 검색해 뜬 '글로리 투 홍콩' 파일을 내려받아 틀면서 벌어진 실수라고 주최 측은 해명했다.

 

이 일이 알려지자 홍콩 정부는 비난 성명을 발표하고 주홍콩 한국총영사를 불러 항의했다. 친중 정치인들은 물 만난 고기처럼 목소리를 높이며 "절대 실수일 수가 없다"라거나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음모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시아럭비연맹이 단순 실수라고 거듭 밝혔음에도 "한국으로 수사관을 파견해야 한다", "'글로리 투 홍콩'이 연주될 때 가만히 서 있던 럭비 대표팀을 해체해야 한다", "조력한 한국인이 있다면 홍콩으로 데려와 재판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관련 기사와 논평도 2주 내내 나왔다.

"혹시 홍콩 럭비팀이 홍콩 국가를 몰랐던 것 아닐까요? 대부분이 귀화한 서구인들이잖아요."

홍콩 거주 한 외국인이 농담 삼아 한 말이다. 럭비는 홍콩 최고 인기 스포츠다. 그러나 홍콩 럭비 대표팀은 대부분 중국계가 아닌 서구인들이다.

인터넷 검색 엔진에서 '홍콩 국가'를 치면 '글로리 투 홍콩'이 뜨는 이유는 '홍콩 국가'와 관련해 이 곡이 그간 가장 많이 검색됐고 관련 게시물 역시 많이 올라왔기 때문이다. '인천 사고' 후에도 유튜브에는 '글로리 투 홍콩'을 다시 한번 소개하는 영상들이 올라왔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7월 호주와 이달 6일 두바이에서 세계럭비연맹이 주최한 대회에서는 '의용군 행진곡'이 연주될 때 방송 생중계 화면에 '홍콩의 국가 글로리 투 홍콩'이라는 잘못된 자막이 나간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기도 했다. 이 역시 담당자가 인터넷에서 '홍콩 국가'를 검색한 뒤 벌어진 일이 아닐까 추정된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주최 측이 이미 사과를 한 것을 알고 있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도 대응을 했다"는 입장만 밝혔다.

그러자 친중 정치인들이 다소 잠잠해지긴 했지만 그렇다고 입을 다문 것은 아니다. "배후 세력을 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이어졌다. "한국의 국제대회 개최 금지" 주장까지 나왔다.

홍콩 조직범죄 담당 경찰은 최근 럭비 대회서 벌어진 3건의 사고에 대해 국가보안법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게 이렇게까지 할 일인가요? '글로리 투 홍콩'이 뭔지 몰랐는데 이번에 찾아서 들어봤잖아요. 그 노래만 더 유명해진 것 같아요."

이번 소동을 접한 '제3자'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홍콩 내부에서조차 증거도 없이 사건을 더 키웠다가는 홍콩의 국제적 평판만 나빠진다는 우려가 나오기 시작했다.

안그래도 금지곡만 더 이름을 알린 소동으로 기억될 듯하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정면돌파'

[TV서울=나재희 기자]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9일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불거진 각종 논란에 대한 공식 해명을 내놓았다. 논문 중복게재와 제자 학위논문 표절은 물론 평화의 소녀상 철거 요구, 이명박(MB) 정부 4대강 사업 관여 의혹에 이르기까지 그간 제기된 여러 논란에 대해 직접 답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3일 정부 등에 따르면 이 후보자 인사청문준비단은 지난 7일 국회에 총 26페이지 분량의 '인사청문회 관련 참고자료'를 제출했다. 이 후보자의 정식 인사청문회 답변서는 아직 국회에 제출되지 않았다. 제출 기한은 인사청문회 이틀 전인 14일까지다. ◇ 논문 쪼개기·제자논문 표절 의혹에 "사실무근"…정면 돌파 자료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논문 중복게재, 이른바 논문 쪼개기 의혹에 대해 "두 논문은 실험 설계는 동일하나 각각 개념이 다른 변수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작성한 것으로, 서로 다른 논문"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실험이라도 결과와 의미가 다르면 개별 논문으로 볼 수 있어 2개 학술지에 게재하더라도 부당한 중복게재가 아님'이라는 2021년 한국연구재단의 '실무자를 위한 연구윤리 통합 안내서' 문구를 첨부했다.






정치

더보기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 '정면돌파' [TV서울=나재희 기자]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9일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불거진 각종 논란에 대한 공식 해명을 내놓았다. 논문 중복게재와 제자 학위논문 표절은 물론 평화의 소녀상 철거 요구, 이명박(MB) 정부 4대강 사업 관여 의혹에 이르기까지 그간 제기된 여러 논란에 대해 직접 답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3일 정부 등에 따르면 이 후보자 인사청문준비단은 지난 7일 국회에 총 26페이지 분량의 '인사청문회 관련 참고자료'를 제출했다. 이 후보자의 정식 인사청문회 답변서는 아직 국회에 제출되지 않았다. 제출 기한은 인사청문회 이틀 전인 14일까지다. ◇ 논문 쪼개기·제자논문 표절 의혹에 "사실무근"…정면 돌파 자료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논문 중복게재, 이른바 논문 쪼개기 의혹에 대해 "두 논문은 실험 설계는 동일하나 각각 개념이 다른 변수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작성한 것으로, 서로 다른 논문"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실험이라도 결과와 의미가 다르면 개별 논문으로 볼 수 있어 2개 학술지에 게재하더라도 부당한 중복게재가 아님'이라는 2021년 한국연구재단의 '실무자를 위한 연구윤리 통합 안내서' 문구를 첨부했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